최근 한 학생이 나에게 "학교에는 꼭 가야만 하는 곳인가?"라는 질문을 던졌다. 세상이 변하면서 이렇게 묻는 아이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이 중 절반 이상이 부적응을 이유로 들었다. 전체 학업중단 학생 수는 2013년에 대비 14.3% 감소해 2010년 이후 4년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지만 여전히 많은 학생이 학교를 떠나고 있는 것이다.
교육부가 7일 발표한 ‘2015년 학업중단 학생 현황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학업 중단 학생은 일 년 전보다 8662명 준 5만 1906명으로 나타났다. 학교급별로는 초등학생 1만4886명, 중학생 1만1702명, 고등학생 2만5318명이었다. 이같은 배경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학교부적응 아이들이 많다는 것이다. 이들에게 배움이 일어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인가? 학교가 아닌 곳에서도 배움이 일어날 수 있다. 이처럼 떠난 아이들에게는 왜 학교가 의미있는 곳으로 자리 잡지 못하고 있는 것일까?
“저는 학교 가는 게 정말 무서워요. 고등학교에 올라가고 얼마 안 돼 사소한 일로 오해를 샀는데 그게 좀 억울해서 울었거든요. 그 뒤부터 아이들이 저만 보면 수군거리기 일쑤예요. 친한 친구가 한 명도 없고요. 아침에 눈을 뜰 때마다 오늘도 학교에 가야 한다는 사실이 막막하고 괴로워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것이 어는 한 청소년이 겪고 있는 아픔으로 어른들에게 호소하는 내용이다.
요즘 아이들은 덩치는 이전보다 훨씬 크지만 온갖 고민으로 마음이 아프다. 어린 생각에 비친 친구들의 따돌림은 거대한 벽 혹은 절망의 늪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어려서부터 곱게 곱게만 자란 아이들은 조그만 문제만 앞에 놓여도 해결하려는 의지를 갖지 못한다. 이러니 우울증에 걸리는 청소년이 해마다 늘어나고, 심지어 심각하게 자살을 생각해본 청소년 비율도 어른보다 높다는 것이다. 청소년기의 극단적이 고 충동적인 성향은 불안과 방황을 더욱 부채질한다. 흔들리는 아이들을 잡아주는 것이 멘토와 부모, 학교의 역할이다. 과연 어떤 방법으로 어떻게 접근해야 청소년의 위기 상황을 해결할 수 있을까.
지금 학생에게 필요한 것은 ‘소통과 나눔’이다. 친구들과 소통과 나눔만 잘 해도 학생이 겪는 어려움은 90% 이상 해결할 수 있다. 먼저 친구들과 눈으로 말을 해보는 것이다. 눈으로 말하는 것만큼 사랑을 전하는 진정한 만남은 없다. 말하는 상대방의 눈동자를 바라보며 고개 한 번 끄덕여주는 것만으로도 상대방의 마음이 활짝 열리기 때문이다.
치열한 학업 경쟁에 시달리는 아이들은 이전보다 물질적으로 훨씬 풍족하지만 엄마 아빠의 애정, 어른들의 관심과 배려, 친구들의 따뜻한 말 한마디에 굶주려 있다. 어찌 보면 이런 상황이 아이들을 빠져나오기 힘든 ‘절망의 코너’로 몰아넣는지도 모른다. 이미 청소년기를 지나온 어른들은 알고 있다. 자신의 마음을 가장 잘 아는 사람은 바로 자신이라는 것을. 자신의 문제는 오로지 자신만이 잘 알고 해결할 수 있다. 부모님이나 선생님, 친구들은 조언을 건네지만 해결사는 못된다. 그래서 마음이 아픈 것도, 그 마음을 해결하는 것도 결국 나 자신 안에 있다.
고통과 두려움에서 빠져나오려면 용기와 방법이 필요하다. 그래서 날마다 마음 챙김 명상, 감사 노트 쓰기, 자기 자랑 노트쓰기 등을 통해 지금 내가 가진 많은 것을 주변 친구들과 나누는 것이다. 나 외에도 같은 또래의 친구들 청소년기의 누구에게나 고통을 겪고 있다는 것을 알아챈다면 홀로서기가 가능해 질 것이다.
불교적 깨달음에서 오는 성찰로 다년간 청소년을 지도해온 승한 스님이 이들의 고민을 듣고 해결하는데 소매를 걷어붙이고 나섰다. 그렇다고 해서 거창한 충고나 대안을 제시하지는 않는다. 이것이 바로 ‘내 마음을 들어줘’이다. 들어줄 사람이 없는 것에 다수의 청소년들은 방황한다. 그저 오직 가르치고 잘못을 다그치는데만 익숙해 있기 때문이다. 청소년들이 이야기 하는 내면의 말에 귀를 기울이고 맞장구를 쳐주며 상황에 맞는 이야기로 마음을 어루만져 주는 것이 치료약이다. 이를 위해 학부모와 선생님, 주변의 어른들이 나서서 청소년들이 세상과 화해하고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손을 내밀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