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랫만에 서점에 들어서자 처음 접한 '인생의 기술'이란 책이 눈에 들어왔다. 다른 자기계발서의 책들과 다르게 그냥 남의 일기를 훔쳐보는 에세이 같은 느낌, 나와 대화를 하는 듯한 느낌이 들었다. 인생을 살아가는데 필요한 기술이란 좀 더 긍정적인 방향으로 개선하면서 살아가야 한다는 의미가 담겨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끊임없이 불안과 자격지심에 흔들리고 바삐 살다보면 무심히 지나치게 되는 것들에 대해 반성하게 되는 글이 마음에 들어 와 닿는다. 이 책은 혹시라도 잠시 방향을 읽고 머물려 있는 분들에게 권하고 싶은 책이기도 하다.
“지금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대부분의 장벽은 물리적 장벽이 아니라 심리적 장벽이다.”라고 존 코터는 전하여 준다. 세계적인 변화 전문가인 존 코터 하버드 대학교수의 문장이다. 많은 사람들은 변화를 갈망한다. 이같은 변화를 가로막는 것은 외부의 환경이나 조건이 아니라 바로 우리 내면의 장애물 때문이다. 어느 조직을 보더라도 변화를 시도해 보려할 때면 ‘돈이 없는데요, 사람이 없는데요, 예전에 이미 시도했는데요’ 라는 핑계와 불만이 쏟아져 나오기 쉽상이다.
개인도 이 틀을 크게 벗어나기 어렵다. 핑계를 찾으려고 하면 그곳에는 늘 핑계가 있기 마련이다. 물론 타인의 동정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그런 값싼 것들에 자신을 내 맡길 수는 없는 일이다. 마음의 문을 활짝 열고 고정 관념에서 벗어나려는 의지를 가지고 사물이나 현상을 대한다면 누구든 변화와 혁신에 성공 할 수 있다고 믿는다.
초등학교의 교실 모습을 생각해 본다. 선생님이 질문을 할 때 아이들의 반응이 모두 다르다. 상당수의 아이들은 저요, 저요, 손을 들면서 자신에게 답할 기회를 달라고 기운차게 요구한다. 반면에 고개를 푹 숙이고 묵묵부답인 아이, 선생님이 시킬까 봐 눈치만 보는 아이… 각양각색이다. 인생도 일도 마찬가지라 생각한다. ‘저요, 저요, 저요’라고 손을 열심히 들지 않는데 누가 ‘이것이 당신 것입니다.” 라고 말하겠는가? 나는 누가 시키지 않더라도 손을 자주 들고 있는가? 아니면 시큰둥하게 앉아 있는가? 아니면 슬슬 피하고 있는가?
변화를 통하여 발전하는 조직에는 열심히 문제를 찾아 해결하는 핵심 인재가 있다. 이런 사람은 결코 자신이 조직의 부속품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복잡한 조직사회에서 수동적인 부속품이 되어 살아갈 것인가 아니면, 능동적으로 삶을 이끌어 나갈 것인가는 각자의 선택에 달려 있다. 한 조직의 부속품인가 아닌가는 결국 개인이 마음먹기 나름이고 자기하기 나름인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