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5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단일기

선택을 위한 결정은 프로그램에 의지한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끝없는 선택의 기로에 선다. 이때 정보가 필요핟. 그런데 우리 주변은 각종 정보들로 넘치는 정보의 홍수시대이다. 삶에 영향을 미치는 상당히 중요한 것도 아무런 고민없이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가 하면 우리는 항상 정보에 접근할 준비가 돼 있다. 건널목의 빨간불이 파란불로 변하기 전, 음식을 주문해 놓고 기다릴 때, 심지어 화장실에서 ‘볼일’에 집중해야 하는 시간에도 손가락은 스마트폰 버튼을 누르고 있는 모습을 쉽게 발견하게 된다.

전에는 개인들의 의사 결정은 자신이 얻어서 판단한 것이거나 아니면 부모, 선생님을 통하는 것이 대세였다. 아직도 그런 일이 진행되고 있다. 일생에 중요한 학교를 판단하는 과정에서도 아무런 생각없이 결정하는 것을 보았다. 그 이유는 적합한 정보가 앱을 통하여 전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요금엔 스마트폰으로 전달되는 뉴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블로그와 온라인 카페에서 얻은 정보들이 압도적으로 많아 이에 크게 의존한다. “○○커피가 화제다”라든지 “학원은 △△학원이 제일 낫다”는 정보를 보면 ○○커피를 마시고 싶어지고, △△학원에 아이를 보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유엔미래보고서 2040’의 저자인 박영숙은 사물인터넷, 웨어러블컴퓨터 등 각종 정보기술(IT) 기기가 발전할수록 개인들의 결정이 점점 더 IT 기기에 의존하게 될 것으로 내다봤다. ‘지능형 클라우드’는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 개개인이 무엇을 구매하고 무엇에 관심 갖는지 정보를 수집한다. 그리고 정보가 필요치 않을 때조차 끊임없이 정보를 쏘아준다. 개개인은 통계를 토대로 ‘최선이라고 여겨지는’ 결정을 내리게 되며 궁극적으로 자유의지의 여지가 줄어든다는 게 저자의 생각이다.

따져보면 개인의 선택 중 많은 부분은 자유의지에 의한 것이 아니다. 인간이 자유의지로만 결정을 내릴 수 있다면 왜 그리 많은 점집이 성행하겠는가. 미혼인 사람은 “다들 하는 결혼을 나만 못하고 있다”는 압박감에 왜 그리 시달리고, 아이가 없는 부부는 “아이 안 낳느냐”라는 질문에 왜 그렇게 스트레스를 받겠는가. 자유의지는 인간이 갖고 있는 자유라는 것을 강조하는 과정에서 의지와 결합하여 생겨난 단어가 아닌가 생각된다. 사실상 내가 소유한 완전한 자유의지가 있다는 것은 명목상이며 대부분이 외부의 자극에 의하여 생겨난 것이다.

이렇게 보면 ‘자유의지’는 어쩌면 환상에 불과한 것인지 모른다. 의지는 스스로 만드는 것이 아니며 우리가 의식하지 못하고, 의식적으로 통제할 수 없는 무엇인가에 따라 정해진다고 여러 뇌과학자들은 말한다. IT 기기에 ‘결정내리는 과정’을 많이 의존하게 되는 것도 결국 인간이 나약한 존재라는 것을 입증하는 것 아닐까.

"인간은 개인의 자유의지가 아니라 (자신에게 주어진) 각종 정보 중에서 최상의 선택을 하게 되며 모든 결정은 프로그램에 의지하게 된다."는 ‘유엔미래보고서 2040’의 정의를 받아들이는 수밖에 없을 것 같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