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춘기를 지나고 있는 자녀를 둔 부모들은 한결같이 내 아이만이 이상이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을 갖기 쉽다. 그래서 어떤 사람들은 사춘기 자녀는 '내 아이가 아니라 손님'이라는 말까지 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이 시대의 아이들만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라 오랜 옛날부터 사춘기 아이들은 지도하기 힘든 대상이었다.
이런 사춘기 자녀를 대하는 방식은 무엇보다 자식을 존중하고 가치 있는 존재로 인정해 주라는 것이다. 자녀 자신이 '내 부모님은 나를 사랑하시고 인정해 주신다.’는 확신을 마음에 품도록 하는 것이다. 이 믿음은 자신을 가치 있는 존재라고 믿는 자존감(self-perception)의 기초가 된다. 아이들은 단순히 사랑하는 것만으로는 안 된다. 믿어 주고 존중해 주어야 한다. 때로는 부모의 바쁜 생활과 피로감이 자녀에게 상처를 준다. 삶에서 우선 순위를 정해서 시간배분을 지혜롭게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중요한 요소는 가족끼리 터놓고 얘기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가족 중 한 사람을 집중적으로 놀리거나 콤플렉스를 지적하는 것은 안 된다. 이야기 하는 방식이 누구를 질책하기 보다는 행복한 가정을 만들기 위하여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이러한 기회를 갖지 못하고 사는 것이 우리 현실인 것 같다.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는 말을 우리는 알고 있다. 그러나 칭찬과 아첨을 구분하자. 칭찬은 구체적으로 하느 것이 효과가 있다. 아이의 장래에 대해서 쉽게 결론을 내리는 것을 금하고, 인내심을 가지고 자라가는 모습을 지켜보고 기다려야 한다. 사람은 여러 번 변화하면서 성숙에 이르게 된다. 그리고 부모의 눈으로 아이를 속단함으로 아이들의 속을 불편하게 하는 일은 금해야 한다.
아이들이 하나가 아닌 경우 공평하게 대하는 것이다. 어려서부터 아이들은 부모로부터 독점적으로 사랑을 쟁취하려 하는 것이 본성인 것 같다. 바로 뇌가 그렇게 발달하지 못한 증거이다. 점차 성장하면서 서열을 알게 되고 사랑이 더 중요함을 축적해 가는 것이 아이들의 성장 과정이다.
남자 아이들이 문을 꽝 닫고 가구를 부수고 아버지에게 주먹을 들고 대드는 아이에게 어떻게 하나 걱정이 되는 가정도 있다. 화가 가라앉기를 기다렸다가 합리적으로 설명할까? 아니다. 잘못 가르치는 것이다. 아이의 도톰한 엉덩이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 그러나 부모와의 싸움으로 변질이 되는 것은 막아야 한다. 중요한 것은 평상시에 부모의 권위를 세워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최선의 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