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름답도다 먼 곳에서 온 소식이 어찌 그리 아름다운고! 40여년 전 교정에서 만난 한 후배가 아주 아름다운 소식을 전해 왔다. 이 후배는 20여년 전 서울에서 근무할 때 한 번 만난 적이 있었지만 그 이후로 소식이 없어 궁금하였던 차였다. 지금은 세월호 참사가 일어난 현장에서 30분 거리에 있는 대마도에서 분교장을 하고 있다. 자신도 여러 우여곡절을 겪으면서 참 야속한 세월속에 이렇게 나를 만나기도 어렵게 되었다는 것 이었다.
자주 만날 수는 없었지만 자신도 신앙 안에서 생각하고 가르치면서 나의 성장해 가는 모습을 멀리서 지켜보고 있으면서, 최근 전남교육 신문에 난 칼럼을 읽고 자신이 기쁘게 생각되었다고 한다. 한 사람 한 사람에게 다가가도록 구체적인 지침을 주셔서 감사드린다면서, 현재는 교감 자격을 받았지만 교사로 어린이 한 명을 가르치면서 새벽 6시부터 학교에 오게 하여 아침 공부하기전 국민체조를 하게 하고 그날 공부를 시작한다는 것이다.
가르치고 있는 김미영(여,2학년)이 자신의 생각보다도 많은 것을 스스로 학습하며 질문하면서 살아가는 모습을 지켜 보고서 참 기쁘다는 소식이었다. 이 학생은 지난 4월19일 제28회 전국학생음악경연대회에 저학년 성악부문에 참가하여 은상으로 입상하는 성과를 거둔 것이다. 이런 교육의 성과로 할머니가 너무나 기뻐서 어쩔줄을 몰랐다니 할머니께서는 이 선생님을 얼마나 신뢰할 것인가는 더 이상 이야기가 필요없을 것 같다.
또, 대한민국이란 나라가 요즘 세월호 사고로 떠들석하고 침울하지만 참 좋은 나라이다. 히망이 없는 것은 아니다. 교육이 달라지면 세상도 달라질 것이란 믿음때문에 오늘도 현장을 지킨다. 한 명의 아이를 위하여 한 교사가 담임을 맡아 함께 살면서 아이를 가르치고 있는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니까 말이다. 그리고 한 명이지만 수가 적다는 이유로 소홀히 여기지 않고 최선을 다하여 가르치는 선생님이 있다는 것은 더욱 행복할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