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8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단일기

회엄 세상

“야! 환하다.”
“정말 곱다.”

학교에 들어서는 사람마다 내는 감탄사다. 감탄사가 저절로 나올 수밖에 없다. 학교는 지금으로 꽃으로 치장되었다. 시선이 닿는 곳마다. 꽃이다. 정면으로 보이는 언덕에는 철쭉들이 만개해 있다. 암술을 중심으로 8개의 수술이 감싸고 있는 꽃들이 손짓한다. 어디 그뿐인가? 다섯 꽃 이파리들이 함께 하자 부르고 있다. 빨간 철쭉만 있는 것이 아니다. 빨간 철쭉 군락 사이로 하얀 철쭉들이 웃고 있다. 순백의 하얀 색으로 햇살에 반짝거리는 모습은 거의 환상이다.

그 뿐이 아니다. 교사로 향하는 길 양쪽에는 꽃 배추들의 노란 꽃들이 환하게 반짝이고 있다. 네 개의 꽃 이파리로 구성되어 있는 깜찍한 꽃들이 군락을 이루면서 방긋 웃고 있다. 벅차오르는 감동을 억제하기 힘들다. 꽃들이 하나만 있어도 고울 텐데 그렇지 않다. 길을 따라 쭉 놓인 화분들에 심어져 있는 꽃들이 서로 곱다고 경쟁이나 하듯이, 웃고 있다. 그런 상황에서 감동을 받지 않을 이가 어디에 있단 말인가? 환상적인 상황은 밖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교실에 들어서면 또 다른 꽃 대궐과 마주할 수 있다. 선생님을 기다리고 있는 수많은 꽃들이 있다. 반짝이는 눈동자에는 내일이 피어 있다. 꽃들이 만들어 놓은 꽃 대궐보다도 훨씬 더 멋지고 아름다운 꽃들이 기다리고 있다. 그러니 어찌 감동하지 않을 수가 있단 말인가? 28명의 저마다 독특한 향을 뿜어내고 있는 꽃들은 정말 환상적이다. 이 보다 더 아름다울 수는 없다. 이 보다 더 멋질 수는 없다. 꽃들이 모두 다르다. 밖에서 본 꽃들은 대부분이 같았다. 색깔이 달랐지만 그 근본은 모두 같았다. 같은 색깔을 유지하고 있는 꽃들도 훨씬 더 많았다.

그러나 교실 안의 꽃들은 다르다. 같은 꽃은 하나도 없다. 개성이 독특한 모습들이다. 다르기 때문에 더욱 더 향이 진한지도 모른다. 모습은 모두가 다르지만 추구하는 목적은 한결 같다. 내면의 숨겨져 있는 자신들의 재능을 찾아내고 그 것을 계발하는 데 집중이 되어 있다. 욕구가 넘치기 때문에 선생님을 간절하게 원한다. 선생님은 그들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선생님의 칭찬 한 마디에 꽃들은 쑥쑥 성장한다. 선생님이 하시는 격려 한마디가 꽃들을 더욱 선명하게 만들어주는 중요한 밑거름이 된다. 꽃들로 그득 차 있는 교실은 분명 꽃 대궐이다. 그 속으로 들어가 생활하는 선생님은 선남선녀다. 꽃 대궐 속에서만 살았으니, 때가 묻지 않았다. 순수한 성품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여리고 고운 품성을 유지하고 있다. 어린이란 꽃들을 빛나게 할 수 있게 하는 데에서는 절대적으로 필요한 요소들이다. 때가 묻은 선생님은 어린이들의 품성을 바르게 키우기 어렵다. 꽃들과 함께 지내면서 어린이들을 칭찬하고 격려하는 선생님들의 품성은 모두가 선남선녀와 같은 깨끗하고 순수한 품격을 갖추고 있다. 꽃 중의 꽃인 선생님과 초롱초롱 빛나고 있는 꽃들이 피어 있는 교실은 꽃 대궐이 분명하다.

화엄 세상.

꽃은 예쁘다. 화려하다. 선명한 색깔로 사람을 유혹한다. 햇볕을 받게 되면 속까지 훤히 드러내놓을 수 있을 만큼 투명하다. 무엇 하나 숨기지 않는다. 숨긴다면 안 된다. 꽃들은 화려하지만 치졸하지 않다. 사람을 유혹하는 빛깔이지만 그 것으로 끝나지 않는다. 꽃은 화려하고 곱지만 엄숙하다. 엄정하다. 장엄하다는 뜻이다. 장엄이 무엇인가? 웅장하고 엄숙하다는 의미이다. 화려하지만 천박하지 않다. 고운 색깔로 장식하고 있지만 엄숙한 맛이 있다. 그러니 꽃들의 세상은 한 마다로 장엄하다고 할 수 있다. 화려하고 곱지만 엄정하다는 것은 화엄세상이다.

화엄세상은 부처님들의 세상이다. 부처는 깨달은 사람을 말한다. 세상의 이치를 모두 다 완벽하게 꿰뚫어보고 있는 분들을 말한다. 생활의 최고 경지를 말한다. 교실은 분명 이런 화엄세상이다. 눈을 반짝거리고 있는 꽃들은 알고 싶은 욕구로 가득 차 있다. 배우고 싶은 욕구가 넘친다는 뜻이다. 선남선녀인 선생님들은 꽃들의 욕구를 채워주고 있으니, 이보다 더 아름다운 것이 어디에 있단 말인가? 참으로 멋진 세상이 아닌가? 꽃들로 치장되어 있는 꽃 대궐에 감동하고 교실에 들어가서 더 큰 감동에 취하게 된다. 감동 속에서 시작할 수 있으니, 이보다 더 좋을 수는 없다. 오늘도 행복으로 가득 찰 것이 분명하다.(春城)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