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9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단일기

10대의 부모로 산다는 것은?

가정의 달 5월에 포근함을 느껴야 할 가정이 편안하지 못한 가정이 많다. 에너지 넘치는 자기 딸이 얼마 전부터 가출을 하고 등교를 거부하며 밤낮없이 거리를 활보하는 학부모가 학교에 찾아 오셨다. 학교를 가지 않고 방황하는 딸의 행동이 도무지 자기로서는 이해가 안 가고 여러 해결 방안을 찾았지만 어렵다면서 담임교사와 만남을 갖게 된 것이다. 이렇게 아이들이 반항을 하면 부모는 화를 내지만, 아이들의 이런 행동은 ‘자립’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아이가 초등학생일 때는 부모가 “6시까지 들어와”라고 하면, 별일 없는 한 대개 그 시간에 맞춰서 들어오려고 노력을 한다. 하지만 중학생이 되면 달라져 고학년이 될수록 더 고집을 피우는 아이들도 있다. 아이 자신에게서  ‘왜 내 귀가 시간을 엄마, 아빠가 정해주는 거지?’라는 반항심이 생기는 것 때문이다.

그럴 때 아이의 마음 속에는 대체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 걸까? 지금까지는 귀가 시간은 물론, 해도 되는 일과 안 되는 일의 기본을 모두 어른들이 정해줬고, 아이들은 별생각 없이 그대로 따라왔다. 하지만 아이들의 정신 연령이 성장하면서 ‘내 행동을 왜 엄마 아빠가 규제하는 거지?’ 하는 의문을 갖게 된다. 그리고 그와 동시에 ‘내 행동 규범은 내가 정하겠어!’라는 욕구가 강해진다. 그만큼 머리가 커진 것이다.이런 현상이 바로 넘어야 할 산이요, 아이가 어른이 되는 성장통이라 할 것이다. 

바로 정해진 틀에서 벗어나 상대적인 관점에서 사물과 현상을 보려고 하는 욕구가 생기는 것 때문이다. 때로는 순간적으로 ‘가게에 있는 저 많은 물건 중에 하나 정도는 그냥 가져가도 되지 않을까?’ 하는 어처구니없는 생각을 할 때도 있다. 그래서 가끔 중학생들의 도벽 행동으로 우리 학교에도 전화가 걸려온다. 하지만 바로 ‘가게 주인에게 걸리면 혼날 테고, 마음도 찜찜하니까 하지 말자. 역시 나쁜 일이야’라고 생각을 바꾸게 된다. 이 과정을 거쳐 아이의 도덕성은 한층 성장하게 되는 단계이다. 지금까지는 그저 ‘남의 물건을 그냥 가져가는 것은 나쁜 일이다’라고 어른들에게 들어왔기 때문에 그런가 보다 했던 일들에 대해 ‘정말 그렇구나’하고 스스로 깨달아가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때문에 한번 도벽에 걸렸다고 이상한 시각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이 단계에서 구체적인 지도가 필요하다.

이처럼 아이의 마음과 정신은 큰 변화를 겪고 있는데, 부모가 옛날과 똑같은 어린애 취급을 하면 당연히 반발심이 생기게 된다. 그리고 그 반발심은 ‘알았어, 잔소리 좀 그만해! 그냥 좀 내버려 둬!’ 하는 식의 불만으로 표현한다. 이런 내부 성장과 외부 반응의 격차를 우리는 보통 ‘부모에게 반발하는 시기’, 즉 ‘반항기’라고 부른다.

우리가 반항기라고 부르는 행동은 부모가 하는 말이나 사회의 규칙에 대해 하나하나 ‘왜? 어째서?’라는 토를 달고 생각하면서 ‘스스로 생각하고, 스스로 이해하고, 스스로 행동하는 인간’인 자립한 인간이 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것이다. 그러므로 반항기는 아이의 ‘정신적 자립’에 꼭 필요한 시기이다. 이런 아이들의 심리를 이해하면 아이가 반항심을 보여도 부모는 여유를 가지고 그것을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다. 이같은 아이들를 보고 갑자기 외계인이 된 것처럼 바라보기 보다는 무엇이 잘 못 되었는가를 구체적으로 지도하는 부모, 부모의 지도가 한계에 이르렀을 때 지도할 수 있는 선생님의 역량이 필요하다. 그래서 개개 아이들의 심리에 대한 이해를 위해 우리가 열심히 공부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