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6 (화)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문화·탐방

94주년 삼일절을 맞이한 우리의 과제는?

한일관계사를 공부하다 보면 커다란 한 가지 의문점을 갖게 된다. 그것은 임진왜란 때는 저들을 물리쳤으나 대한제국 말엽에는 왜 저들에게 졌는가 하는 점이다. 현대적 의미로서의 전쟁인 6.25전란 이전까지만 해도 우리 나라가 외침을 막아낼 수 있었던 것은 정규군이나 정부군의 투쟁이 아니라 민병대 즉, 그 당시의 의병들의 덕분이었다는 데 공통점이 있으며, 임진왜란 이후 1910년대까지의 항일의병도 그 점에 있어서는 마찬가지 이다.

그렇다면 왜 임진왜란 때는 이겼고 대한제국 때는 졌을까? 이 의문에 대하여 제일 먼저 떠오르는 것은 그들이 일본에 대한 저항에 있어서 그 강인성의 차이가 있다는 점이 아니었는가이다. 통계에 의하면 임진왜란 당시에는 17만명 정도가 왜군에 저항을 했는데 그중 34%에 해당하는 6만명이 의병이었다. 이때 참전한 의병장의 총수는 102명이었는데 이들을 출신별로 살펴보면 그중 79%가 칼은 커녕 호밋자루도 쥐어보지 못한 문인이었고 19%가 무관이었으며 천민출신이 2% 정도였다는 것이다.

그런 반면 대한제국 시대의 의병을 살펴보면 모두 14만명 정도가 무력투쟁을 전개했는데 당시 인구 비례로 보면 대한제국 때는 1,312만명 정도였으니 1.1%가 참전했다는 것이며 임진왜란 당시는 370만 정도의 인구에 4.6%가 저항하였다는 것은 여러 가지로 의미가 있다.

요즘 우리 나라가 당면한 중요 과제는 북핵을 저지하는 일이며, 일본과는 독도문제로 중국과는 동북공정 문제가 우리의 존재를 위협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 비추어 94주년 3.1절 기념식을 맞이하면서 막상 ‘국가가 환란을 당하면 자기의 일신을 던져 조국 전선에 던질 사람은 얼마나 될 것인가?’를 한번 예상해 보는 것도 의미있는 일이라 생각된다. 오늘 우리가 이렇게 존재하는 것은 조국의 독립을 위해 고난의 가시밭길을 헤쳐오신 순국 선열들의 숭고한 희생과 헌신이 있었기 때문이다.

우리 나라 최초의 여성 대통령으로 취임한 박근혜 대통령은 오늘 3.1절 기념식 경축사에서 “역사는 자기 성찰의 거울이자, 희망의 미래를 여는 열쇠”임을 강조하고, “우리 민족의 얼과 정신을 되살려서 국민 누구나 삶 속에서 문화의 향기를 누릴 수 있고, 문화를 통해 국민이 하나가 되고 세계인이 함께할 수 있는 문화 융성시대를 만들어 가겠다.”는 국정 철학을 제시하였다. 이제 모든 국민들이 이를 신뢰하고 따를 수 있도록 실천하는 과제가 대통령에게는 남아 있다.

그러나 더 중요한 것은 오늘날과 같이 다원화된 사회에서 대통령이 할 수 있는 일은 국민들이 안고 있는 모든 문제를 해결해 주는 것이라기 보다는 국가 수호를 위한 국방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적절히 대응하는 것과 사회의 양극화로 다양한 의견 대립이 예상되는 민주사회에서 발생하는 갈등을 어떻게 조정해 나갈 것인가 이며, 무엇보다도 열심히 노력하는 자가 그 댓가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일이다. 다만, 제도에 얽메어 아무리 노력하여도 다른 방법을 찾기 어려운 사람들에게는 희망의 불씨를 품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일일 것이다.

더불어 한 국가의 리더들은 국민의 본보기가 되는 일이 우선되어야 한다. 조국을 사수한다는 결의는 전선을 지키는 국군만의 결의여서는 안되며, 최소한 국가의 녹을 받는 사람이라면 단순히 공산주의자들에게만 보여주는 것이어서는 안되며 우리의 후배, 우리의 자식들에게도 보여주어야 할 것이다. 이는 공산주의자들과 직접 싸우는 일에 못지 않게 중요한 일이기 때문이다. 나아가, 개개 국민은 국가 공동체의 행복과 발전을 위하여 무엇을, 어떻게 하는 것이 진정으로 애국하는 길인가를 성찰하면서 행동하는 일이 삼일절을 맞이한 이 아침의 과제가 아닌가 생각하게 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