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려한 개막식으로 시작되 런던 장애인 올림픽도 막을 내렸다. 우리나라 선수들이 최선을 다한 결과 금 9, 은 9, 동 9개로 1위 중국, 2위 러시아, 3위를 영국이 차지하였으며, 종합 12 위를 하여 국위를 선양하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이번 대회에서 육상, 수영 등에서 기대 이상의 결과를 내며 새로운 ‘효자종목’의 탄생을 알렸다. 육상의 전민재 선수(육상 여자 T36 200m 은메달)도 뇌성마비의 고통을 극복하고 값진 은메달을 땄다. 말하는 것과 손 움직임도 불편한 전민재 선수는 발로 편지를 써서 감격을 전했다. 전 선수는 감독에게 쓴 편지에서 “훈련받는 동안 정말 눈물 나게 힘들었습니다. 감독님께 많이 혼나기도 하면서 운동했습니다. 포기하고 싶을 때도 많았지만 힘을 내서 오기로 끈기로 지금 이 자리에 와 있습니다. 지금의 저를 만들어주신 감독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라고 전해졌다. 이런 올림픽을 보면서, 출전한 선수들은 우리에게 혼이 무엇인가를 알고 느끼게 하는 좋은 기회가 아니었을까?
한국 보건사회 연구원 장애인 실태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장애인은 인구 20명 중 1명 꼴이다. 뇌졸중 후 사지마비, 사고에 의한 절단, 시각장애나 청각장애 등 겉으로 드러나는 장애인만 230만 명이 넘은 수준이며, 숨이 차서 화장실에 갈 수 없는 호흡장애, 운동을 할 수 없는 심장장애, 대소변을 가릴 수 없는 요루 장애 등 내부 장기 문제로 인한 장애인 수도 11만 명에 달한다고 하니 그 심각성을 지나칠 수 없는 형편이다..
문제는 이런 장애인 10명 중 9명이 후천적 장애라는 것이다. 우리는 모두가 100세 시대를 바라보는 시점에선 우리 예비 장애인임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후천적 장애는 예방할 수 있다. 따라서 어려서부터 안전과 건강에 대한 교육을 충실히 하여 한 전문의가 지적하는 “장애의 90%는 미리 막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
국내 장애 유형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게 지체장애(팔다리나 몸통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는 경우)다. 지체장애인은 후천적 장애 비율이 97%에 달한다. 가장 흔한 원인은 교통사고다. 한해 약 35만여 건의 교통사고가 일어나며, 그 중 많은 수가 장애인이 된다. 주로 교통 사고 뒤 척수(척추 뼈 속 신경)가 눌려 하지마비, 또는 전신마비가 된다. 목 쪽 신경이 눌리면 전신마비, 허리 쪽 신경이 눌리면 하지마비가 될 수 있다.
스포츠로 인한 손상은 교통사고 다음으로 많다. 이러한 추세를 감안할 때 학교교육에서 전반적으로 일상생활을 통하여 새심하게 지도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현장 교사는 이런 분야에 거의 관심이 없다. 그 이유는 그런 학습을 해 본 경험이 없기 때문이다. 필자는 20여년 전 일본 유학 연수 시절 장애자 의학이라는 교과목을 통하여 배운 경험이 있는데 우리와 다르게 의사가 대학원 교육과정에서 관련 강의를 하는 것에 놀랐으며 그런 기억은 아직도 생생하게 남아 있다. 앞으로도 사회의 변화와 더불어 증가를 보이는 등산, 승마, 스키, 수영을 하다가 떨어지거나 넘어져 사지, 또는 하반신 마비가 되는 경우가 꽤 있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참고로 우리 교사와 학부모 학생들이 조금만 관심을 가지면 후천적 장애인이 되는 것을 막을 수 있을 내용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어린이 청소년 장애 몇 가지만 지켜도 95%는 막을 수 있다.
수영장이나 계곡에서 물의 깊이와 바닥 반드시 확인한다.
12세 이하 어린이는 반드시 뒷자석에 타고 안전벨트를 맨다
길 건너 가기 전 반드시 좌우 살피기를 지도한다.
놀이터 학교 아파트 등에서 위험한 장난 삼가기미며, 특히 난간 주변에서 조심하도록 한다.
청소년 지체 장애의 최대 요인인 오토바이 탑승은 가급적 삼가하도록 하는 세심한 지도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