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7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단일기

아직도 교단을 지키는 이유는?

인간은 태어나 생존하면서 공동체를 만들어 왔다. 그 역사가 오래되고 오늘날도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종교 공동체이며, 중세를 지나 근세에 이르러 학교 공동체가 중요한 역할을 감당하게 되었다. 오늘날도 학교 공동체는 여전히 중요한 조직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그 안에서 역할을 담당하는 교사는 전통적으로 그 지위가 손가락 안에 들어 있었다. 이러한 기록은 오래된 고전이라 칭할 수 있는 성서에서 찾아볼 수 있다. 하느님이 세운 것으로 첫째는 사도요, 둘째는 선지자요, 셋째가 교사이다.

그런데 이처럼 손가락 안에 들 정도로 역사성을 지닌 교사들이 공통적인 이야기중 하나가 날이 갈수록 점점 교육하기 힘들어 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같은 현실과 시대의 흐름을 볼 때 앞으로 교사의 지위는 어떻게 유지할 것인가?가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그 이유는 사회가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지식을 전달하는 기관이 단순히 학교가 아닌 다른 기관들이 통신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급속히 증가하기 때문이며, 오늘날 진정 필요한 지식을 교사가 아닌 학생이 더 많이 소유하는 경우도 있다는 것을 부인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교사는 이름 그대로 가르치는 것, 즉 교육이 중심이었다. 선생님이 학생들에게 필요하다고 생각한 것들을 전달하는 교수-학습시대였다. 단적으로 시험이라는 통제 수단을 통하여 정답은 무엇이냐 묻는 것이 중심을 이루었다.고만 물었다. 그래도 이것이 통하는 시대였기에 선생님도 크게 위신이 손상되지 않는 시대였다. 그러나 시대가 변하여 IT시대(초고속정보통신시대)로 변하여, 자기주도학습으로 전문화된 자만이 살아남는 시대이다. 정보시대에는 사장도 답을 모르는 문제들이 많다. 모르면 언제든지 배워야 하는 시대가 왔다. 모두가 정말 쓸모있는 정보를 분별할 줄 알고 지식을활용할 줄 아는 안목을 갖추도록 배우고 성장해야 한다. 따라서, 선생님 스스로가 시대의 변화를 읽고 잘 대처할 필요가 있다.

오늘날 한국교사의 가장 마음 깊은 곳에 남아 있는 문제는 무엇일까? 낮은 처우나 고된 업무, 모순된 교육제도 때문인가? 만일 그렇다면 하루빨리 고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더 근본적인 것은 학생들과 제대로 소통하지 못하는 수업이 아닐까. 누가 말하지 않아도 소통이 어려워 힘든 것을 느끼는 것은 교사 본인이다. 교사 자기 자신은 잘 소통한다고 믿지만 아이들의 속 내심에는 교사를 무시하는 경향이 있음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이러한 죄책감에서 벗어나는 길은 없는 것일까! 길이 있다. 이제 교사들이 그런 길을 만들어 가야 한다. 그런 학교는 제대로 궤도를 달리고 있다. 경기도에 혁신학교 부근의 전세값이 오르고 있다는 것이 그 증거일지도 모른다. 혁신학교는 수업의 변화를 통하여 아이들의 생활지도를 하는 학교로 기반을 닦고 있다. 이런 변화를 위하여 선생님이 머리를 싸메고 공부하는 길이다. 아이들과 소통하는 법, 아이들을 이해하고, 교육과정을 잘 요리하고 학생들이 배움의 즐거움을 느끼도록 코칭하는 길이다. 교사로써 학생들과 함께 사랑하며 즐겁게 공부하는 삶은 정말 행복한 삶이다.

요즘 사립고등학교들이 자율형 사립고를 만들겠다고 노력하는 것은 좋은 인재 양성이라는 목표도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힘든 아이들을 받아 교육하는 것은 너무 어렵다는 것을 몸으로 체득하여, 그대로 방치하다가는 학교가 존재하기 어렵다는 예측도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읽을 수 있을 것이다. 평판이 좋지 않은 학교에 누가 아이들을 보내려고 할 것인가?

공교육을 담당한 교사 공동체는 흔히 좋은 아이들만 오는 학교를 기대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재학하고 있는 그대로의 아이들을 올바른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학교이다. 좋은 공부습관이 체질화 되어 있어 좋을 대학을 갈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는 아이들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고, 아이들 하나하나의 개성과 모든 아이들을 소중히 여기는 학교가 승리하는 학교이다.

성서는 묻는다. 선지자라고 하여도 다 선지자이겠느냐고 묻듯이 교사 자격증을 가졌다고 모두가 교사이겠느냐라고?(고전12:29) 조금은 현실이 혼돈스런 학교일지라도 이같은 문제의식과 책임감을 가지고 현장을 개선하려면 선생님이 제대로 배워 교육을 실천하면 아이들은 달라질 것이라 믿는다. 이제 교사의 생존 전략이 달라져야 한다. 그런 희망이 있기에 오늘도 힘든 아이들과 부대끼는 것을 핑계삼지 않고 교직을 지키고 있는 것은 아닐까!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