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유로 지역의 경제 위기로 영국을 비롯한 유럽의 공항들은 그렇게 북적이지 않은 모양이다. 그런데 영국 공항엔 한국 젊은이들이 몰려 나오는 것을 보면서 한국에서 방학이 시작되었음을 읽을 수 있게 되었단다. 조금 지나면 초등학교 학생들까지 가세하여 공항은 더욱 북적거리겠다는 생각을 해 본다. 여러 해 전에는 이같은 일이 캐나다 공항에서 벌어져 이런 모습을 본 한국계 주민은 한국에 무슨 일이 벌어졌느냐는 질문을 한 적이다 있다. 그때가 바로 조기 유학 붐이 새차게 일어 어린 초등생까지 유학에 가담한 시기였다고 생각된다. 앞으로 초등학교에 방학이 시작되면 필리핀 공항에도, 홍콩 국제 공항에도 이런 일이 벌어지리라는 생각은 지나친 예측일까?
이명박 정부는 영어교육에 엄청난 투자를 하였다. 인구 1명당이거나 절대적으로나 한국은 세계에서 영어공부에 가장 많은 돈을 투자한 나라가 될거라는 게 한 외국인의 지적이다. 그러나 그 결과는 어떤 것일까. 토익점수는 아직도 바닥권이고, 어떤 지방자치 단체는 영어 마을에 많은 투자를 하였지만 적자를 감당하기 어려워 폐쇄하였다는 기사도 보았다.
그런가 하면 원어민을 투입하면 교육의 성과가 올라갈 것으로 생각하여 많은 영어권 젊은이들이 한국의 학교에서 좋은 선생님 대우(?)를 받으면서 생활하고 있다. 그러나 진정 이들이 영어 성적을 향상시키는데 큰 영향을 주는 요인도 아니며, 어떤 학교에서는 채용한 원어민이 말썽을 일으키거나 제 맘대로 수업에 임하고 있어 골치를 앓고 있는 원어민 담당 교사가 한 둘이 아니다는 사실을 정책 당국자들은 알고나 있는지 모르겠다.
한 학급당 인원이 아직도 30명을 넘어 40여명에 가까운 교실에서는 진정 필요한 것은 원어민 교사가 아니다. 이를 반으로 나누어 대화를 나누면서 수준별 수업을 할 수 있는 한국의 교사가 필요한 시점이다. 원어민 인건비라면 젊은 교사 2명을 채용할 수 있다. 그런데도 이를 해결하지 않고 원어민만 채용하기를 고집하는 것은 학교 현장을 너무나도 모르는 발상이다. 학교의 문제는 담당교사를 비롯하여 관리자에 해당하는 교감, 교장이 잘 파악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권한은 그 누구에게도 주지 않으면서 질 높은 영어교육을 하라니 말이나 되는 일인가? 이제 한국의 젊은이들도 영어를 잘 하는 학생이 많으며, 이들은 실직자가 되어 직장 밖을 맴돌고 있는 현실을 감안한다면 방향 수정을 해야 할때가 아닌런지!
국민 모두가 영어에 올인하는 것은 그렇게 바람직하지 못하다. 영어를 잘 해도 우리 나라 보다 못 사는 나라가 필리핀을 비롯하여 수두룩하다. 세계에 더 영향력을 줄 수 있으려면, 미래의 핵심 역량인 문제를 분석하고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을 배우도록 환경을 조성하는 일이다. 이제라도 영어때문에 모든 국민이 괴로워 하는 나라가 아니었으면 좋겠다. 간단한 회화는 번역기의 사용을 통하여 습득하여도 좋을 것이다. 최근 과학기술의 발달은 최고도의 언어구사 능력을 사용하는 수준의 언어까지는 아니더라도 왠만한 수준의 것은 다 번역하여 해결하는 시대가 우리 눈 앞에 다가 오고 있다. 필자도 일본어 번역을 한국어로 할 경우 거의 80% 정도는 기계가 해결하여 준다.
해도 안되는 영어를 초등학교에서 부터 모두에게 강요하는 것은 교육의 이름을 빙자한 하나의 폭력일 수도 있다. 안되는 걸 시키니까 안될 놈 되는 것이다. 국어 능력이 현저히 떨어져 있는 학생에게는 안 해도 좋다고 허용할 수 있는 학교가 있었으면 얼마나 좋을까! 그렇게 하려면 영어가 필수가 아닌 선택과목으로 지정되어야 하는데, 이를 고쳐나가는데는 교육 당국의 힘으로는 불가능한 시대인지도 모르겠다. 오직 영어에만 목을 메고 있으니 말이다. 먼 훗날 그 투자에 따른 결과를 얻지 못한다면 결국 손해보는 것은 국민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