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6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단일기

특성화고 문예지도교사의 비애

지난 주말 우여곡절 끝에 광주대 백일장을 다녀왔다. ‘우여곡절 끝에’라고 말한 것은, 물론 그만한 까닭이 있어서다. 광주대 전국고교생백일장은 1차 예선 통과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다. 우리 학생들 2명도 예선을 통과했다.

예선 응모자 8명은 앞서 실시한 교내백일장 수상 학생들이다. 그냥 수상 학생들이 아니다. 광주대학교 백일장 개요를 설명해주고 예선 통과시 갈 수 있다는 학생들로만 예선에 응모했다. 다른 2명도 추가했다. 공모전 응모를 위한 녹색에너지체험전 관람이 목적이었다. 물론 해당 학생들이 응해 내린 결정이었다.

그러나 백일장 이틀 전 한 학생이 할머니 생신을 들먹이며 못갈 것 같다고 말해왔다. 부모와 함께 금요일 밤에 대전으로 가야 하기 때문 토요일 백일장 참가가 어렵다는 것이었다. 안될 일이었다. 학교를 대표한 백일장 참가가 가정사보다 우선이었다. 그렇지 않은가. 당연히 2대가 함께 가면 좋은 일이다. 하지만 학교 일이 있는 손녀까지 굳이 데리고 가려는 것은 아니지 싶다. 학생이 제 엄마와 통화 후 백일장 참가쪽으로 결론이 났다. 휴우, 하며 안도하고 퇴근했는데 학생으로부터 또 한 통의 전화가 왔다.

이번에는 할아버지가 아파서 금요일 하교 후 부모와 함께 멀리 가야한다고 했다. 임종이 아니고 그냥 아픈 것이었지만, 학교를 대표하는 백일장 참가도 아니고 녹색에너지체험전 관람인 만큼 ‘그렇다면 별 수 없지’하며 허락했다. 아쉽지만, 3명만 데리고 가도 될 것 같아서였다. 그런데, 맙소사! 밤 9시 무렵 백일장에 참가하기로 되어 있는 또 다른 학생의 엄마라며 전화를 해왔다. 그 학부형은 대뜸 내게 물었다.

 “백일장대회에 꼭 가야 하나요?”
마침 1학년이라 건강검진 있는 걸 담임교사와 협의하여 다른 날로 미루도록 하는 등 결정을 본 후였다. 저간의 사정을 설명했더니 그러면 보내겠다는 대답이었다. 그로부터 30분쯤 지나서인가, 이번엔 학생이 장문의 멀티메시지를 보내왔다. 요약해보면 부모가 성적 떨어진다며 시를 못 쓰게 하기 때문이다.

마음 속으로 ‘그래 하기 싫다면 버릴 수밖에 없지’ 다짐하며 2명만 데리고 가려던 간밤의 계획은, 그러나 당일 아침 꿈이 되고 말았다. 4번째 학생이 새벽 6시 35분경 보낸 메시지엔 “동생이 아파 간호할 사람이 저밖에 없다”는 내용이 찍혀 있었다. 결국 한 학생만 데리고 다녀왔다. 바로 ‘우여곡절 끝에’라고 말한 이유이다.

20년 넘게 문예지도하며 처음 겪은 그런 황당한 일을 이렇듯 시시콜콜 공개하는 것은 다 같이 생각해볼 점이 있어서다. 요컨대 단순히 ‘특성화고 문예지도교사의 비애’만은 아니라는 생각이 들어서인 것이다.

묻고 싶다. 이런 우여곡절을 겪으며 글쓰기 지도며 백일장 인솔을 하는 교사가 전국의 어느 초·중·고에 혹시 있는지. 만약 없다면 지금 나는 ‘미친 짓’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절로 솟구치는 자괴감을 어찌 할 수 없다. 하지만 나의 미친 짓은 아무래도 상관없다. 내가 좋아해서 하는 일이니까. 그보다는 우리 특성화고 학생들이 이런저런 환경에 휘둘려 스스로 열정적인 삶을 살고 있지 못한 것은 아닐까, 그런 생각이 내내 떠나질 않는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