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6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단일기

공부에 목 메는 사람은 부모 아닌가?

요즈음 학생 폭력에 관한 대안이 날마다 쏟아지고 학교현장에서 생활지도 담당자는 출장 다니기에 바쁠 정도이다. 그리고 이런 학생 문제가 발생하면 으레 입시위주 교육, 성적 중심의 교육이 문제라며 떠들어 댄다. 그러나 이는 현장을 제대로 관찰하지도 않고 하는 소리이다. 학교도 많이 달라졌다. 아이들과 소통하려 노력하고, 문제 학생을 상담하려고 귀를 기울인다. 때문에 이러한 업무 수행에 따른 스트레스를 감당하기 어려워 퇴직하는 교사도 최근 늘어나고 있다는 사실이다. 학생들의 용의주도하고 계획된 비행을 단지 학력위주의 제도 탓으로만 돌리는 것은 무리이다.

문제를 가진 학생 배후에는 반드시 그 원인이 되는 요소가 존재하고 있다. 사회적으로 퇴폐적인 문화 현상과 문제 부모가 있을 뿐이다. 그래도 우리에게 아직 희망은 있다. 우리 아이들은 비교적 착한 아이들이 많다. 학교에 결석하는 학생도 거의 없으니 말이다. 그러나 이런 현상들이 어느 때까지 계속 유지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점이다.

우리의 교육 현실은 경쟁주의에 휘말려 대부분의 아이들이 지나치게 공부에 목메고 있는 것이다. 누가 이것을 강요하는가? 학교보다도 부모가 더욱 이 대열에 앞장서고 있다. 아이들은 학교 수업이 끝나면 또 다른 장소로 옮겨 공부를 강요받는다. 그래서 나는 부모님과의 대화 시간이 있을 때마다 공부하라는 말만 강조하지 말라고 부탁을 드리곤 한다.

아이들도 부모가 바라는 바를 이루고 싶어한다. 그러나 이 길이 막히거나 제대로 되지 않을 경우 자살의 문턱에 이르는 경우도 없지 않을 것이다. 한때 열심히 노력한 경험이 있는 아이는 강가에 앉아 내가 왜 이렇게 되었는지 모르겠다고 하소연하면서 푸념을 하는 것이다. 지금은 그 증상이 심하지 않더라도 그럴 가능성이 있는 학생들이 다수 존재한다는 사실이다.

최근 일반 학생들로서는 감히 생각하기 어려운 우수한 학생의 자살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코드를 읽어야 한다. 우리 자녀들이 과외 없이 공부 잘하는 방법은 없을까?라는 질문은 자녀를 학교에 보내는 모든 한국 어머니들의 질문이다. 과외를 하지 않고도 최상위권을 유지하는 학생들은 한결같이 "자신에게 맞는 공부 방법"을 찾아 몸에 익히는 것이 가장 좋은 "스스로의 과외"라고 입을 모은다. 그러나 성적이 안 나오는 학생들은 자신의 방법이 어딘가에 문제가 있음을 알고, 자기를 심정적으로 지지해 주는 교사와 상담이 필요하다. 명의가 잘 모르는 질병을 찾아 치료에 임하는 것과 같이 말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