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학기 개학을 하고 경칩인 오늘 밖에는 봄비가 부슬부슬 내리고 있다. 학교 주변의 밭에는 씨를 뿌리고 거름을 주는 농부의 모습이 아른거린다. 어릴 적부터 일상적으로 봄이 되면 씨를 뿌리고 밭을 가는 농부의 모습을 보면서 자란 나에게 농부는 항상 부지런히 일하는 모습으로 각인돼 있다. 그런가 하면 세상을 살면서 인간 생활사 속에 온갖 협잡과 부정이 신문의 지면을 장식할 때 마다 농부는 정직하게, 심은 대로 거두고, 인내가 있으며, 지속성이 있다는 사실이 오버랩되는 것을 보면 살아가는 환경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새삼 깨닫게 된다. 인생을 살아가면서 농부를 본받지 않는 사람은 인생에서 결코 승리할 수 없다는 나름대로의 생각도 이같은 체험이 나의 생각의 살이 되었기 때문이리라.
그렇다. 농부처럼 살면 비전을 이룰 수 있다. 농부는 부지런하며, 때를 놓치지 않는다. 봄이면 씨 뿌리고, 여름이면 여름대로 잡초를 제거하는 수고의 과정을 지나, 가을이 되면 때를 따라 수확을 거둔다. 비가 오면 비가 오는 대로 물을 대기도 하고 빼기도 하며, 비가 오지 않아 농작물이 타 들어가면 물을 주기도 한다. 게으름을 피우면 농작물은 즉각 반응한다. 이런 원리가 우리 인생에게도 적용되기에 농사 체험이 필요하다. 사람은 누구나 본능적으로 게으르고 싶고 안주하고 싶어 한다. 마음속에서 일어나는 나태함과 안주함도 농부의 모습을 생각하면 멀리 경계하게 된다. 이러한 덕목들은 책상에 앉아서 이론으로만 배울 수 없다. 농부처럼 땀흘리는 과정을 통해 시간이 성숙하면 열매를 맺는다는 사실을 체득할 것이다. 우리 학생들에게도 부지런한 농부처럼 살면 미래가 열린다는 기대를 해 본다.
공부도 때가 있다. 중, 고등학교 시절은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진로를 결정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때를 놓쳐서는 안 될 것이다. 우리 아이들이 초등학교라는 작은 꽃밭에서 자라나 수많은 친구들이 모인 큰 꽃밭으로 터전을 달리했다. 초등학교 과정이 끝났다고 놀아버린다면 비전을 이룰 수 없다. 이제 마음 밭을 잘 가꾸는 심전경작을 하기 위해 나름대로 시간관리를 잘 해야 할 것이다. '심은 대로 거둔다' 이것이 농작의 원리다. 학생들은 공부한 대로 거둔다. 순수한 마음으로, 깨끗한 마음으로, 정직한 마음으로 노력하면 노력한 만큼 이룬다. 그게 노작의 원리다.
다음은 농부의 정직을 배우도록 해야 할 것이다. 정직은 농부의 순수하고 깨끗한 마음에서 나온다. 학생들이 정직하려면 농부처럼 순수한 마음, 깨끗한 마음을 지녀야 할 것이다. 그래야 정직하게 된다. 농심을 가져야 한다. 동심을 가져야 한다. 본심을 회복해야 한다. 학심이 농심처럼, 동심처럼 된다면 보다 맑고 밝은 마음을 지니고 살아갈 것이란 생각을 하게 된다. 또 학생들에게 농부처럼 인내와 끈기를 본받도록 해야 할 것이다. 비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끈질긴 노력이 필요한데 중도에 포기하는 경우가 많음을 보게 된다. 모든 경주에서 인내하지 않고는 이룰 수 없다. 운동선수처럼 날마다 체력관리를 하면서 땀을 흘리면서 끈기를 갖고 꾸준히 훈련을 쌓아가야 한다. 인내와 끈기로써 말이다.
요즈음 우리 학생들은 편리한 세상에 살다보니 잃기 쉬운 일관성과 지속성이 부족하다. 아직 굳은 마음이 아니기에 어릴수록 자주 마음이 변한다. 자주 계획이 바뀌기도 한다. 오늘 생각과 내일 생각이 다르기 쉽다. 이렇게 되도록 내버려 두면 비전을 이룰 수 없다. 계획이 세워지면 일관성 있게 계속 밀고 나가야 한다. 시간적으로 지속적이어야 한다. 농부가 씨를 뿌리고 뿌리가 내릴 때까지 지속적으로 관리하듯이 열심히 공부하다가 한때는 실컷 놀아버린다면 리듬이 끊어진다. 그러면 다시 회복하기가 쉽지 않다. 이를 계속 유지해 나갈 수 있도록 쫒게 될 것이다.
우리 아이들은 모두 색깔이 다르고 종류가 다른 꽃송이들이다. 정원에 핀 꽃도 예뻐할수록 더욱 아름다워지듯이, 사람도 서로 격려하고 칭찬할수록 능력을 더욱 잘 발휘할 수 있으리라 믿는다. 이것이 자연의 원리이다. 꽃 한 송이 한 송이가 제각기 아름답게 필 수 있도록 이렇게 서로 격려하고 아끼는 학교 공동체를 만들어가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