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3 (목)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단일기

부모로부터 존중 받는 아이 성공의 길로 가게 된다

우리 인간은 의식적으로 무의식적으로 심리적 지배를 받는다. 자존심과 자존감은 사전적으로 자기존중의 의미를 갖는다. 나는 중요하다. 가치있는 사람이라는 의식에서 삶의 에너지가 충전된다. 이와 반대 선상에서 열등감이란 낮은 자존감의 접점이라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마음 관리를 어떻게 하는가에 따라 건강한 사람이 되는가 그렇지 못하는가이다. 이같은 자존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우리 자녀가 “나는 가치 있는 사람이다.” “나는 남에게 호감을 주는 사람이다.”라고 믿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심리학자 칼 로저스는 자신을 긍정적인 존재로 여기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들의 인정을 받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형편없는 사람으로 여기는데 유독 자신만 스스로 괜찮은 사람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쉽지 않다. 따라서 자녀의 자존감 형성에는 삶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타인 즉, 부모로부터 얼마나 많이 존중받고 수용받느냐가 문제이다.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키프로스의 왕 피그말리온은 완벽하고 아름다운 여인을 조각하였다. 그리고 그 여인을 마치 자신의 아내인 것처럼 대하며 온갖 정성을 다하였다. 어느 날 피그말리온은 신들에게 그녀를 자신의 아내로 만들어 달라고 기도하자 여신 아프로디테가 그의 사랑에 감동하여 조각상을 사람으로 환생시켜주었다. 이렇게 누군가에 대한 사람들의 믿음이나 기대, 예측이 실현되는 것을 피그말리온 효과라고 한다.

미국의 교육심리학자 로버트 로젠탈 (Robert Rosenthal)은 이런 기대와 믿음의 힘을 직접 실험으로 입증한 것으로 유명하다. 그는 초등학교에서 지능 검사를 한 후, 검사 결과와 상관없이 무작위로 학생을 선발하고 해당 학생을 맡을 교사에게 그들이 지능지수가 높은 학생이라고 거짓으로 이야기 했다. 교사들에게 특정 학생들에 대한 기대를 걸도록 믿음을 심어 준 것이다. 8개월 후 학기가 끝나갈 무렵 이 학생들은 다른 학생들보다 평균 20점 정도 성적이 오른 결과가 나왔다. 교사의 긍정적인 기대가 학생의 성적을 향상시키는 결과를 낳은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로 로젠탈 효과라는 말이 생겨났는데, 로젠탈 효과란 타인이 나를 존중하고 긍정적인 기대를 갖고 있으면, 그 기대에 맞는 사람이 되기 위해 변화하려고 노력하고 결국 그렇게 되는 것을 말한다.

우리는 우리 자녀에게, 가르치고 있는 학생들에게 어떤 기대를 갖고 있는가는 매우 중요하다. 세계적인 인물로 성장한 과학자 아인슈타인은 네 살이 되어서도 말을 못했다. 그래서 사람들은 그를 저능아라고 여겼다. 초등학교에 들어간 뒤에도 성적은 엉망이었고 특별히 두드러지게 잘 하는 것이 없이 아주 평범한 아이였다는 것이다. 아인슈타인의 담임선생님은 아인슈타인은 아무것도 이루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상황에서도 그의 아버지는 결코 아들에 대한 믿음을 버리지 않고 그가 훌륭한 인물이 될 수 있고 위대한 업적을 세울 수 있다고 끝까지 믿었다. 그래서 자신감을 길러주기 위해 아인슈타인에게 집짓기 놀이 장난감을 사주고, 아인슈타인이 한 층을 쌓을 때마다 칭찬하고 격려해 주었다. 그 결과 아인슈타인은 더욱 자신감이 생겨 14층까지 쌓을 수 있었다.

이밖에도 여러 방법을 동원해 아인슈타인이 자신감을 가지고 소극적인 자세를 버릴 수 있도록 해 주었다. 아버지의 이러한 기대를 바탕으로 아인슈타인은 결국 세계가 인정하는 위대한 물리학자로 성장할 수 있었다는 이야기를 통하여 우리가 책임지고 있는 아이들에게 높은 기대감을 갖고 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