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화와 더불어 그 파도가 세게 한반도를 중심으로 밀려오는 양상이 전개되고 있다. 세계 경제의 저성장 기조 속에서 경제력의 중심이 태평양 동쪽에서 서쪽으로 옮겨가는 컨티넨털 시프트(Continental Shift)가 가속화될 전망이다. 경제학자의 전망에 의하면 2015년 경에는 신흥국의 소득 2만 달러 이상 인구가 8억 5000만 명으로 늘어나 선진국의 8억 명을 추월하고, 특히 신흥국에서 연간 4만 달러를 넘어서는 고소득층 인구가 9000만 명에서 2억 1000만 명으로 두 배 이상 증가하면서 프리미엄 시장의 중요성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는 예측이다.
이제 이처럼 세계 경제에서 신흥국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는 것이다. 미국과 유로존, 브라질 등 태평양 동쪽 지역 국가들이 전 세계 소비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09년 43.5%에서 2015년 42.3%로 줄어드는 반면, 서쪽 지역 국가들의 비중은 24.3%에서 30.3%로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신흥국에서 이런 변화가 두드러져 태평양 서쪽의 아시아 국가들이 중남미나 동유럽 국가들에 비해 더 빠르게 성장할 것이라고 경제 전문가들이 전망하고 있다.
중국 내부에서는 세계 경제에서의 책임 있는 역할 수행이 부담스러워 아직 인정하기를 꺼리는 분위기가 있다. 하지만, 미국을 비롯한 전 세계가 중국이 G2 국가로 성장했음을 받아들이고 있다. 중국 역시 과거의 ‘도광양회(韜光養晦)’, 즉 자신의 실력을 숨기며 때를 기다리는 전략에서 세계 각국과의 평화로운 공존을 강조하는 ‘화평굴기(和平掘起)’로의 노선 전환을 선언했다. 그리고 2010년대 중반부터는 ‘화해세계(和諧世界)’ 등 좀 더 적극적인 역할을 강조하며 ‘환골탈태’하는 신중화주의 시대로의 굴기 움직임을 본격화할 가능성이 높다.
중국의 일부 산업 부분은 이미 선진국 ‘따라잡기 (catch-up)’ 단계를 넘어선 상태다. 광대한 내수시장을 기반으로 정부 주도의 미래산업 육성책을 추진 중이다. 그 결과로, 2020년까지 재생 에너지 비중을 15%로 늘리겠다는 계획을 밝히기도 했다. 저임 전통 사업의 경쟁력 약화에 대비하고 자원 및 차세대 산업 분야에서의 경쟁 우위를 선점하기 위한 해외직접투자 확대전략도 강화 중이다.
중국이 자국 통신시장에서 독자적 3G 표준을 재정해 성공한 것이나 LCD TV가 중국 시장에서 성공하면서 글로벌 패널 생산업체들이 PDP보다 LCD에 집중하게 된 사례 등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세계 500대 기업들이 중국에 진출해 있는 상황에서는 각 산업 분야의 글로벌 표준 경쟁 역시 중국에 유리한 국면으로 전개될 가능성이 높다.
비경제적인 분야에서의 중국의 부상 또한 두드러질 전망이다. 미국에 대해서도 ‘노(NO)’라고 말할 수 있는 중국을 만들기 위해 평화적 팽창주의 전략을 내세우고 있다. 대양 해군 육성, 우주전 능력 배양 등 다양한 형태의 군사작전 역량을 강화하고 있는 것이다. 동시에 자국의 이익을 강하게 관철시키기 위해 아세안, 인도, 러시아 등의 인접국 외에 중남미, 아프리카, 중동 등 세계 각국과의 교류를 적극적으로 확대하고 있으며, 각종 국제기구 내 지위 향상을 위해서도 외교력을 집중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역사의 전환점에서 한국과 같이 인구나 토지가 좁은 국가는 앞으로도 어쩔수 없이 주변 강대 국가들의 눈치를 보면서 살아가지 않으면 안되는 환경에 놓이게 된다. 이같은 역사 전개의 상황을 보면서, 앞으로 한국은 중국을 상대로 일을 하면서 선린 교류를 하지 않으면 안될 처지이다.
따라서 중국어, 중국역사, 중국문화에 대한 관심과 교류 증대를 위하여 우리가 해야 할 일이 무엇인가를 제대로 파악하고 이에 대처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우리 아이들에게 세계 역사의 변화되어 가는 양상, 역사의 전개 등 다양한 접근이 매우 필요햔 시점이다.
이를 반영하여 필자의 학교에서도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으로 중국어를 도입하고 있지만 아직 이에 대한 관심은 아주 미미한 실정이다. 무엇보다도 교육은 미래에 대한 준비를 하는 것이기에 교사들의 역사의식의 변화를 위한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