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서산장-열하일기 박지원의 웃음과 해학이 묻어나는 곳으로>
쨍쨍 찌는 무더위가 물러나고 아침저녁이면 시원한 가을바람이 불어온다. 이런 계절에 딱 여행하기 알맞은 곳은 바로 승덕(承德)이다.
승덕은 중국 황제들이 더위를 피해 묵던, 피서산장(避暑山莊)이 있는 곳이다. 승덕은 열하(熱河)로 불리며, 행정상의 지명이다. 북경에서 기차로 4시간 반쯤이면 도착하는 아주 가까운 거리다.
북경과 가까운 천진 같은 도시들이 대개 가도 가도 끝없이 펼쳐지는 넓은 평지이다. 그러나 승덕은 뒤에 산이 있고 강이 흐르는 배산임수 명당의 자리로 한국지형으로 본다면 강원도 영월 같은 느낌이 드는 작고 아담한 도시이다. 이런 선선하고 조용한 곳이기에 청나라의 황제들은 여름을 보내기 좋은 별궁이 자리 잡기 안성맞춤인 곳이다.
조선의 사신들과 박지원은 청나라 건륭제의 칠순 생일잔치가 승덕에서 열린다는 이유로 압록강에서 출발하여 밤낮을 달려 도착한 곳이 열하, 승덕에 자리 잡고 있는 피서산장이다. 피서산장은 1994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피서산장은 무척 넓다. 산장은 걸어서 하루를 돌아도 다 못 보는데 산지와 평지로 이루어져 있다. 산장 안에 있는 관광차 요금 50원으로 움직여도 거의 한 시간이 넘는다. 산장 안을 걷다보면 오래된 아름드리 녹나무들이 우거져 있다. 또 항주의 서호만큼 아름다운 호수가 해질 무렵 연인과 걷기에 딱 좋다.

피서산장 정상에 오르면 사방으로 높은 성벽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시내가 다 내려다보인다. 멀리 알록달록한 모습의 8개의 티벳 사원인 외팔묘(外八廟)와 산속에 숨은 커다란 거인이 엄지손을 쑥 내밀고 있는 듯한 경추봉(磬錘峰)이 보인다.

산장에서 나와 외팔묘 안 보녕사로 들어가면 높이 22m의 세계최대 나무 불상을 만나는 횡재를 한다. 이 불상은 손이 수십 개나 되는 ≪산해경≫신화에나 등장할 듯한 모습이다.

박지원은 열하일기에서 ‘내 평생에 괴이한 구경은 열하에 있을 때만 한 것이 없다. 그러나 이름조차 모르는 것이 많고, 문자로써는 능히 표현할 수 없어 모두 빼놓고 기록하지 못하니 참 안타깝다’고 하였다.
‘수유+너머’에서 학문공동체를 하는 고전평론가 고미숙의 책 ‘열하일기, 웃음과 역설의 유쾌한 시공간’ 책에 따르면 ‘≪열하일기≫는 여행기가 아니다. 여행이라는 장을 전혀 다른 배치로 바꾸고, 그 안에서 삶과 사유, 말과 행동이 종횡무진 흘러 다니게 한다.’고 했다.
박지원 인물화를 보면 조선시대 사람치고는 매우 우람하다. 그는 조선시대 비정규직 프리랜서로서 벼슬을 하지 않고 글 읽기와 책 쓰기에만 시간을 보내며 홍대용, 이덕무, 박제가 등과 매우 친했다고 한다.
이런 그가 건륭황제의 정식 초청자 조선사신이 아니면서도 삼종형 박명원을 따라 압록강에서 열하까지 15일동안 중국에 머물며 쓴 책이 바로 열하일기이다.
열하일기는 조선 정조 당시의 사회 제도와 양반 사외의 모순을 신랄하게 비판하는 독창적이고 사실적인 문체를 담았다고 하여 한 때 배척당하던 책이다. 그래서 필사본으로 전해오다가 1901년 김택영에 의해 처음 간행되었다고 한다.
선선한 바람이 불어오는 이 가을, 승덕 피서산장의 이야기가 담겨 있는 ≪열하일기≫를 만나보면 어떨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