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5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소식

아시아 공생을 위한 역사인식 가져야

해마다 8월 15일이면 일본은 시계를 거꾸로 되돌린 듯한 거대한 착각에 빠져든다. TV와 신문은 히로시마(廣島)와 나가사키(長崎)의 원폭 투하로 숨져간 불쌍한 죽음을 추도하며 일제히 슬픔에 잠긴다. 당시의 쓰라린 고통과 공포의 기억을 떠올리며 반인륜적 핵무기를 영원히 추방해야 한다는 결의도 빠뜨리지 않는다. 이 같은 모습은 전적으로 동감하는 부분이지만, 일본 언론들의 보도에는 마음에 걸리는 구석이 있다. 세계 유일의 피폭국인 일본은 피해자일 뿐 가해자로서의 모습은 좀처럼 찾아볼 수 없기 때문이다.

그들은 원폭으로 치달을 수밖에 없었던 ‘원죄’에 대해서는 입을 꾹 다물고 있으니 말이다. 일본 제국주의에 항거해 무자비하게 숨진 한국인의 죽음과 일제의 무모한 침략전쟁 속에 아시아 각국이 당한 피해에 대한 추도와 반성은 거의 찾아볼 수 없다. 또 이러한 사실을 아는 젊은이도 찾아보기 어렵게 되었다. 올해 종전기념일(일본에서는 패전일 8월 15일을 이렇게 부름)에도 어김없이 도쿄야스쿠니 신사는 일장기로 온몸을 휘감은 우익들로 넘쳐날 것이다. 일제 침략전쟁은 제국주의의 시대적 상황에 따른 ‘불가피한 투쟁’으로 재해석되고 미화됐기 때문이다.

침략전쟁을 정당화하는 역사왜곡 교과서를 채택하는 지방자치단체도 하나둘씩 늘어가고 있다. 자타가 공인하는 경제 선진국 일본의 역사인식 수준은 이처럼 뒷걸음질하는 것일까. 오래전부터 알고 지낸 일본인 친구에게 의견을 물었다. 친한 사이라고 하여 역사문제를 간단하게 꺼내지는 않은 것이 사실이다. 조금이라도 불편한 관계를 피하기 위해서이다. 

평소 허심탄회한 대화를 나누는 사이지만 ‘과거사’에 관한 대화는 처음이었다. “일본 사람 모두가 그런 것은 아닙니다. 일본 사회의 우경화는 극히 일부일 뿐입니다.” 과거사를 반성하고 사죄하는 일본인이 많지만 단지 조용히 마음 속에 담아두고 있을 뿐이라는 대답이었다. 이처럼 올바른 역사 인식을 위한 노력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시아의 공생을 위한 역사 인식을 위해 새로운 노력이 요구되고 있는 시점이다. 다행히 왜곡 교과서를 채택한 도쿄도 스기나미구에서 이 교과서를 사용하지 않기로 하였다는 소식을 들었다. 무엇보다도 균형잡힌 역사교육이 필요하다는 시각에서이다.

간혹 양국의 의식 있는 인사들에 의하여 젊은 세대가 평화와 공생의 가교를 놓자는 취지의 활동을 하지만 이는 아주 미미한 수준이다. 한 일본 여학생은 자신이 한국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로 2001년 도쿄 지하철역에서 일본인 취객을 구하려다 숨진 이수현 씨를 들었다. “당시 초등학생이었지만 한국인의 이타정신이 충격이었어요. 일본인으로서 감사의 마음을 전달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는 이 씨가 다니던 일본어 학원에 직접 찾아가 한국 주소를 알아냈고 부모님께 편지를 썼다. 우정의 편지는 지난 지금도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우정은 자연스럽게 한국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고 한일 과거사로 확장되면서 한일 관계 개선에 책임감을 갖게 됐다고 했다.

“한국 문화를 접할 때마다 닮은 점이 많아 형제 나라라는 생각이 들면서도 역사문제만 나오면 난감하다”는 학생도 있었다. 할아버지 세대의 일에 얽매이기보다는 자주 만나 거리감을 좁히고 싶다는 게 일본 학생의 바람이었다. 이처럼 한일 간에는 쉽사리 극복되지 않는 높은 벽이 있다. 광복 66주년을 맞이하면서도 관계 개선을 위한 양국의 정치, 외교적 접근은 번번이 제자리에 머물러 있다. 

이 같은 장벽은 꼭 단숨에 뛰어넘어야 하는 것만은 아닐 것이다. 작은 문을 내는 것도 한 방법이다. 당장 벽을 허물 수 없다면 더디더라도 일반 시민 문화 차원의 접촉면을 넓혀가는 것도 중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개개인의 대일관을 올바르게 설정하는 일일 것이다. 나아가 일본의 우경화를 막기 위해서라도 더 많은 소통의 창이 필요할 것 같다.

한일간의 다양한 창구를 만들어 우리의 이야기를 들어줄 사람들, 또 우리의 것에 관심을 갖고 있는 사람들을 향한 끈질긴 노력이 필요하다. 무엇보다도 젊은 세대들의 격의없는 만남을 주선하는 것이 이 시대를 사는 어른들의 역할이 아닐런지 생각해 본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