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금 세계는 하나의 지구촌으로 되어가고 있다. 과학, 정보통신의 발달로 지구촌화 속도는 더 가속화 되고 있는데도 이에 대한 준비는 부족한 편이다. 한국교육의 현실을 보면 오직 학교와 학원, 과외라는 좁은 울타리 안에서만 아이들이 생활하다 보니 보다 큰 세계를 마음에 담을 기회가 없다.
10여년 이상 해외생활을 하는 동안에 정말 "한국적인 것"이 무엇인가를 많이 생각하는 기회를 가졌다. 30여년 전에는 해외에서 먹거리인 김치, 불고기 수준에서 이제 한류 등으로 진화가 빠르게 그리고, 서양에까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보다도 더 외국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역사가 깊은 것은 가장 한국적인 태권도가 아닐까. 필자의 일본 유학시절 이란 등 중동에서 온 친구들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다보면 '코리아= 태권도'라는 등식으로 설명을 하는 것을 들을 수 있었다.
이러한 태권도가 지금은 외국에서 정식 교과목으로 채택되고 있다. 그것도 작은 나라가 아닌 미국에서 일어나고 있다는 것은 대단한 의미를 갖는 것이다. 무엇보다도 교육과정에서 선택이 된다는 것은 대단한 것이 아닐 수 없다. 왜냐하면 조용필의 '돌아와요 부산항에'는 노래로는 한국을 넘어 일본에서도 많이 부르고 있지만 교과서에 들어가지 못한다. 그만큼 교육과정이란 국민적인 합의를 도출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 때문이다. 이처럼 어려운 것은 교육과정의 수문장이 힘이 세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런 수문장을 제치고 미국에서 정식 교육과정으로 채택된다고 하는 면에서 대단한 의미를 부여하지 않을 수 없다.
그리고 태권도 수업에는 구령에 모두 한국어가 사용되고 있으니 세종대왕과 한글 관계자 모두가 대환영을 하고 있다. 또한 이 태권도를 통하여 건강도 증진하는 것은 물론이지만 상대를 존경하는 교육을 실행하는 수단이 된다. 그래서, 학교 체육관이 떠나갈 듯 한 구령소리가 나면서 학생들의 투지가 엿보이고, 모든 구령에는 상대를 존경한다는 뜻의 'Sir'가 붙는다.
작년 가을부터 태권도 수업을 시작한 미국 밀빌시의 한 학교 태권도 수료식은 학부모들까지 참여하는 마을 축제처럼 진행되고 있다. 수료식에 참석한 시장도 신이 난 듯 팔굽혀펴기도 하고 송판 격파에도 직접 나서는 것을 목격할 수 있었다. 팀 셰논 밀빌 시장은 "오늘밤 학생들의 태권도 시범이 얼마나 감동적인지 모르겠습니다" 라는 코멘트를 하였다.
한국 학생이 한 명도 없는 이 학교가 태권도를 정식 교과목으로 채택하고 또 이렇게 열광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바로 이 태권도를 통하여 아이들에게 어른에 대한 존경, 겸손, 감사의 마음 같은 인간사회의 기본이 되는 미덕을 가르치기 때문이라니 더욱 놀라지 않을 수 없다. 이 같은 사회적 자본의 축적이 없이 선진국이 되기 어렵다. 이처럼 태권도의 교육효과가 성공사례를 통해 입증되면서 그 확산속도는 더욱 빨라지고 있다는 것이다.
행사장에 나타난 지나라는 한 학부모는 "아이가 존경심과 겸손함을 배울 뿐 아니라 운동까지 하게 되니까 너무 좋아요" 라는 반응을 보였다.
지난 2001년 미국 공교육에 처음 진출한 태권도가 지금은 미국 동부지역에만 70여 개 학교가 태권도를 수업시간에 가르치고 있다니 얼마나 대단한 일인가! 이러한 태권도를 한국의 학교에서 얼마나 가르치고 있으며 배우고 있는 학생수의 정확한 숫자도 알 수 없는 현실이지만 태권도의 교육을 지금 수업 예절이 무너져 가는 우리 교육현장에 도입하므로 교육효과를 높이는 것은 어떨런지 논의하여 볼 단계가 아닌가 생각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