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우리 학교에서는 예상과는 다르게 그린마일리지(학생 상·벌점제도)가 조금씩 성숙한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 아직 시행초기라 몇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는 점도 있지만 학생들이 예전보다 예의바르게 행동하고 수업태도도 좋아지고 있어 참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예전에 체벌이 있었던 때는 몇 가지 장점도 있었지만 상·벌점제도가 조금씩 정착되고 있는 지금 시점에서는 학생의 인성을 지도하는 좋은 제도가 되고 있다.
최근에 우리 반의 어느 학부모가 학교로 찾아 오셨다. 학교로 찾아 온 이유는 본인의 아이가 어제 과학 선생님으로부터 지적을 받았는데 학부모입장에서는 벌점을 받을 만한 행동이 아닌 것 같다고 이의를 제기했다.
교사가 학생을 지도함에 있어서 편견을 가지고 지도하는 사람은 없다. 하지만 학교를 찾아 온 학부모는 “우리 아이가 잘못을 안 했는데 왜 벌점을 받았는지 이해할 수가 없다” 고 했다. 당시의 상황설명을 구체적으로 해 주고 평상시 학교에서의 생활태도와 행동을 지적해주자 이해가 가고 죄송하다는 말씀을 남기고 가셨다.
이처럼 요즘 대부분의 학생들이 그렇듯이 학교에서 있었던 일을 집에 가서 부모님께 이야기할 때는 본인은 잘못은 이야기하지 않고 교사가 지적한 것만 부모님께 말씀을 드리는 경우가 많다. 학교에 찾아온 우리 반 학생의 어머니도 단지 아이가 울면서 억울하다고 이야기를 해서 학교로 무작정 찾아왔던 것이다.
교사는 결코 아이들을 잘못되게 지도하거나 개인적인 감정으로 다루지 않는다. 따라서 학부모도 자신의 아이를 올바르게 지도하게 하기 위해서는 교사를 전적으로 신뢰하고 믿어주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자녀가 학교에서 혼이 나서 집에 왔을 때, 아이 편을 들어주기 보다는 아이와 대화를 하면서 잘못된 점을 스스로 생각하게 하고 부정적인 생각보다 긍정적인 생각을 할 수 있게끔 만들어 주어야 한다.
특히, 담임선생님에 대해 집에서 ‘너희 담임선생님은 왜 그러지니?’, ‘그건 담임선생님이 잘못하신 것 같은데’ 라는 식의 이야기를 한다면 더 이상 아이가 담임교사를 신뢰하지 않게 된다. 대신에 ‘담임선생님이 그렇게 한 이유는 다른 이유가 있을 꺼야’, ‘먼저 네가 잘못한 부분을 고치는 것이 더 중요하단다“라고 이렇게 아이에게 말을 해 준다면 결과는 확연하게 달라진다.
물론 가장 중요한 것은 담임교사가 신뢰받고 인정받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하지만 학부모가 혹시라도 아이만의 이야기를 듣고 아이에게 불평과 불만을 이야기하면 교사와 자녀의 관계를 악화시킬 뿐이다.
결코 학교에서의 교육만으로 학생을 변화시킬 수는 없다. 자녀에게 무조건 공부만 하라고 강요하지 말고 집에 있을 때는 부모님이 먼저 책을 보거나 신문을 보는 모습을 보여 주는 것도 중요하다. 왜냐하면 요즘 청소년들은 주변 사람들이 어떻게 행동하는지를 보고 그것을 그대로 따라 하기 때문입니다.
아직도 우리 교직에는 묵묵히 아이들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정성을 다해 1년 동안 아이들을 좀 더 발전하고 나아질 수 있도록 노력하는 참다운 교사가 많다. 이제 우리 부모님들도 너무 자녀의 말만 믿지 말고 교사의 입장에서 한 번 생각해 볼 수 있는 믿음이 필요한 시점이다. 그래서 교사와 학부모가 서로 믿어주고 끌어주는 관계가 성립이 될 때 아이들과 함께 하는 행복한 한 해가 될 것이라 확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