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 상 진학을 앞둔 다양한 부류의 학부모들과 가끔 상담을 한다. 이 상담을 하는 과정에서 학부모들에게 하는 질문 중 하나는 "장래 자녀가 무슨 직업을 가졌으면 좋겠는가요?"하는 물음이다. 이 물음을 통해 학부모가 직업세계에 대해 파악하고 있는 정보의 깊이와 자녀에 대한 기대 수준을 파악할 수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부모들, 특히 공부를 잘 한다고 하는 엄마들의 대답은 아이가 초등학교 때까지는 딱 5개로 나눠진다. 의사, 판사, 변호사, 교수, 한의사, 공무원, 교사이다. 한마디로 포장된 도로를 달리는 자동차의 시대를 살아 온 때문이 아닌가 생각된다.
노동부가 발행한 '한국직업사전'에 의하면 우리 나라에는 약 1만2000여 개의 직업이 있다는데 그에 비하면 이 5~7이라는 숫자가 얼마나 적은 것인지를 알 수 있다. 우리가 가르치는 아이들은 남들이 선호하는 직업은 현실적으로 도달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기에 친구들끼리 이야기를 나누지만 아이들 역시 제대로 직업에 대해서 교육받아본 적이 없는 터라 그 5~7가지 직업을 빼놓고는 연예인, 디자이너, 요리사 정도의 직업만을 추가할 뿐이다.
자기의 자녀가 미래 희망을 ‘회사원’이라고 밝힌 한 부모는 약간 실망을 하고 있는 상태였다. 자녀가 너무 평범한 꿈을 가지고 있는 듯해서이다. 그러나 미래의 세계는 세상에서 무언가를 팔아야 하는 시대로 변하고 있다. 세계가 더욱 고속도로 하나의 무대가 되고 있다. 능력만 있으면 우리 자녀들은 세계를 무대로 살아가는 시대가 될 것이다. 단지 ‘회사원’이라는 똑같은 명칭으로 불린다 해도 개인의 경력관리에 따라 충분히 성공한 인생을 살 수 있다. 겉으로는 다 비슷비슷해 보일지 모르지만 회사 내부에는 생산, 물류, 마케팅, 홍보, 재무, 관리, 판매 등 다양한 업무가 있고, 그 담당 업무에 따라 요구되는 적성과 능력에 차이가 있는 것이다. 자녀가 금융분야에 관심이 있다면 금융권에 취직하여 추후 금융 관련 컨설턴트로 나아갈 수도 있고, 기업의 재무나 회계부서에서 일하며 착실히 그 능력을 쌓아나가 임원의 자리에 오를 수도 있다.
만일 새로운 사람을 만나 대화하는 것을 좋아하는 등 대인 관계에서 탁월한 능력을 보인다면 영업 분야에서 그 역량을 발휘할 수도 있다. 공학에 관심이 있다면 산업공학을 전공하여 생산이나 물류 관련 업무를 담당하며 보람을 찾을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니 적어도 ‘회사원’이라는 하나의 명칭으로 불린다 해도 모두 같은 업무를 하지는 않는다는 것 정도는 알았으면 좋겠다. 엄마의 정보력에 의해 아이들의 장래가 좌우된다는데 미래의 직업세계에 관한 공부도 하지 않고, 아이들을 지도하려고 하면 충돌만 일으키기 십상이다.
대학의 입시 방법이 변하고 있는데 이에 대한 올바른 이해는 하지 않고 내 자녀를 좋은 교육시키겠다고 하는 것은 어불 성설이다. 그래서 부모들도 공부가 필요하다. 아이들이 더 세상의 정보에 앞서고 있다. 따라서 부모도 선생님도 학생보다 더 폭 넓은 정보, 지식을 습득해야 한다. 아이들은 몸과 나이만 어릴 뿐이다.
학부모들도 새롭게 등장하는 특이한 직업까지는 모른다해도 직업의 범위가 다양하다는 것을 깨닫고 이를 파악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10년 후에는 현재와는 판이하게 다를 것이다. 때문에 자신의 흥미와 적성을 찾아내는 것이 자녀 자신의 몫이라면 그것이 미래의 직업과 연결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하는 것은 부모의 몫이다. 이제 학생만 공부하는 시대는 지나고 있다. 선생님도 학부모도 배우지 않으면 살아남기 어려운 시대이다. 공부 안하는 선생님을 존경하는 학생은 하나도 없다. 공부하는 독종이 살아남는다는 어느 학자의 이야기는 결코 가볍게 흘려 넘길 이야기가 아니다. 우리 자녀들이 "내 삶은 내가 책임지지 않으면 어느 누구도 책임져 주지 않는다"는 각오로 임하면 어려운 벽도 돌파가 가능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