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교대 경기캠퍼스가 개교한 지 3년 반 만에 시사토론 동아리 ‘아포리’ 가 만들어졌다. 여성인권을 다루는 ‘달바람’, 교육 관련 주제를 다루는 'GTO'에 이어 세 번째 토론 동아리다. 그 이름은 민주사회의 기원을 이루었던 그리스 정치의 중심 아크로폴리스에서 따왔다.
아포리에서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와 같은 사회 과학과 여러 가지 시사 전반 등 전방위적인 주제를 토론하고 공부한다. 우리는 높은 실업률 때문에 취업과 임용에 매달려 영어나 한자와 같은 직업을 얻기 위한 공부만 하게 되는 대학 현실 속에 있다. 아포리는 점수를 따기 위한 공부가 아닌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의 모습을 공부하고 그것을 교육 현장에서 긍정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모인 학생들의 모임이기에 그 의미가 남다르다.
아포리는 여러 사람들이 책을 읽고 토론을 하며 미래의 교사로서 올바른 정치, 사회적 관점을 형성하고 그것을 기반으로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교육을 하자는 취지에서 만들어졌다.
현재 토론 활동은 아크로폴리스라는 이름에서 보듯이 정치에 관한 것이 중심이 되고 있다. 앞에서도 말했듯이 요즘의 대학생들은 취업을 위해 토익이나 자격증 공부에만 목을 매게 된다. 그에 따라 정치, 사회적인 문제에 무관심해지고 있다. 해가 갈수록 치솟는 임용 경쟁률로 임용 합격을 위한 공부에 매달려야 하는 교대생 역시 마찬가지다.
아포리는 "임용을 위한 공부만으로 훌륭한 교사가 될 수는 없다."고 말한다. 교사가 다양한 분야의 공부를 통해 자신의 지식 기반을 넓힐 때 비로소 교육의 다양성을 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아포리의 공동 동아리 대표 중 한 명인 김종하 학우(교육학과 06)는 "교사 스스로 정치나 사회 문제에 관해 깊은 관심을 가지고 그것을 올바르게 교육하는 방법에 대한 공부를 해야 한다. 이는 권리와 의무를 지킬 줄 아는 비판적 사고가 가능한 민주시민을 육성하는 데 도움이 된다. 그에 따라 진정한 풀뿌리 민주주의를 이룩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그들은 교사 개인의 생각과 가치관이 학생들에게 은연중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가능한 객관적이고 이성적인 사고를 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도 덧붙인다.
아포리의 동아리 활동은 크게 인문․사회과학 서적 토론, 시사토론, 대중 강연 개최로 나누어진다. 그중 토론활동은 동아리 내에서 관심분야가 비슷한 사람들끼리 소모임을 만들어 관련 분야의 책을 정해서 읽어온 다음 이루어진다. 이 소모임은 토론이 끝나면 해체되고 자신이 공부해보고 싶은 분야에 따라 유동적으로 새로운 소모임을 다시 만들어 토론할 수 있다.
대중 강연은 사회 각계의 지식인과 유명 인사들을 초청하여 학교 내 소극장에서 90~120분가량의 강연을 하고 질의응답을 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동아리 회원이 아닌 학생과 외부인도 강연을 들을 수 있다. 9월 23일에 ‘EBS 지식채널e’를 제작했던 김진혁 PD의 “지식채널e와 메시지”라는 강연을 개최하여 많은 학우들의 관심 속에 끝마쳤고, 2학기 중으로 중앙대학교 진중권 교수의 초청 강연을 준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