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에서 '평가'라는 용어처럼 말도 많고 오해도 많은 말도 드물 것 같다. 평가라고 하면 사람들은 곧 시험을 연상하고 점수나 석차를 생각한다.
그래서 평가는 잘 하는 사람과 못 하는 사람을 갈라내어 학생들을 서열화하고 학부모들의 경쟁을 부추겨서 우리 교육을 점수따기 교육 또는 입시위주 교육으로 만드는 주범으로 오해받기도 한다.
요즘 사회적 논쟁 거리가 되고 있는 초등학교 3학년의 학력평가 실시 문제만 해도 그렇다. 교육부는 학생들의 기초학력을 진단하여 부족한 부분을 조기에 처방하여 줌으로서 학습부진을 줄일 수 있다고 말하는 반면, 교사들은 전국적인 학력평가가 결국 우리 교육을 '한 줄로 세우기' 경쟁으로 몰고가서 학교교육을 파행으로 이끌고 갈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논쟁을 듣다보면 두 주장간에 평가에 대한 입장과 해석이 이렇게 다를 수 있구나 하는 생각에 놀랍고, 도대체 교육에서 왜 평가나 시험이라는 것이 있는 것인지 의문과 회의를 갖게된다. 평가는 교육 잘 하자고 하는 것인데, 교육에 아무런 도움도 주지 못하고 오히려 올바른 인간교육을 가로막는 것이라면 우리는 하루 빨리 학교에서 평가를 없애는 데 힘을 모아야 할 것이다.
그러나 평가나 시험이 없어진다고 우리 교육이 경쟁이나 서열화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는 것인가? 평가에 대한 오해가 바로 여기에 있다. 교육에 있어서의 경쟁과 서열화는 시험이 있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 아니라, 우리 사회의 잘못된 학력위주의 경쟁구조와 풍토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교육 외적인 요인에서 생기는 문제를 자꾸 교육에로만 책임을 돌리고, 평가나 시험이 나쁘고 잘못 된 것처럼 몰아 부치니 평가학자의 한 사람으로서 참 억울하지 않을 수 없다. 문제는 평가나 시험이 잘 못 된 것이 아니라, 평가를 보는 우리의 인식과 논리가 잘 못된 것이 아닐까? 교육평가가 교육의 결과를 평가하고 교육활동을 따자는 일이라면, 교육이 있는 곳에 평가가 따라가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장사를 하고도 대차대조표를 만들어 손익을 따지지 않는다면 그 사업이 얼마나 발전할 수 있겠는가? 교육평가는 교육을 평가하는 것이지 개인을 능력을 따져 분류하고 서열화하는 것이 아니라는 원론적인 인식을 교육현장으로부터 바로 세워나가야 할 것이다.
교사의 입장에서 학생을 가르치고 지도하기 위하여 교육의 결과를 확인하고 평가하는 일은 당연히 필요한 일이다. 학생들의 학습결손을 파악하고 지도전략을 마련하는 일은 교사의 중요한 교육적 임무의 하나이다.
또 평가 결과 잘못 가르친 점이 나타난다면 어떤 형태로던 책임을 느끼는 것도 교직 발전을 위하여 교사들이 받아들여야 할 논리라고 본다. 외부로부터의 평가를 무조건 부정적인 것으로
인식하거나 교사들의 교육활동을 저해하고 왜곡시키는 것으로만 생각한다면 우리는 교육의 변화와 발전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다.
교육부의 주장도 재고될 필요가 있다. 갑자기 전국의 모든 초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일제히 평가를 실시하여 학력을 진단하고 그 결과를 교육에 피드백 하겠다는 것은 이해가 되지 않는다. 우리의 사회풍토와 교육상황에서 전국 단위의 일제식 평가는 그 결과의 교육적 활용보다는 불필요한 경쟁과 파행적 시험준비 교육을 불러오는 역기능을 가져올 우려가 크다.
서둘러서 전국적인 학력평가를 실시해야 할 무슨 이유라도 있는 것인가? 그렇지 않다면 학교현장의 의견을 더 수렴하고 평가의 역기능적 측면을 보완할 수 있는 충분한 보완책을 함께 마련하여 단계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교육 잘 하자고 하는 학력평가이지, 교육을 통제하는 수단으로 여겨지거나 심지어 교육에 해를 주는 학력평가가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평가는 양면의 날을 가진 칼임을 알아야 한다. 칼을 잘 쓰면 교육을 바로 잡고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어갈 수 있지만, 잘못 휘두르면 오히려 교육을 해치고 왜곡시킬 수 있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