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15 (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문화·탐방

바른 말씨로 바른 사회를 (26)

▶「메기다」와「매기다」

위의 두 동사는 그 뜻이 서로 전혀 다름에도 불구하고 구분 없이 사용하는 예가 많다.

“운동회에서 달리기 등수를 메기다”
“화살을 시위에 매기다”

「메기다」는 ‘두 편이 노래를 주고받고 할 때 한편이 먼저 부르다’ 또는 ‘화살을 시위에 물리다’ 등의 뜻으로 쓰이며,「매기다」는 ‘일정한 기준에 따라 사물의 값이나 등수를 정하다’ 또는 ‘일정한 숫자나 표식을 적어 넣다’ 의 뜻이다.

그러므로 위에서의 두 문장은 「메기다」와「매기다」를 서로 바꾸어 써야 맞는 말이 된다.
“운동회에서 달리기 등수를 매기다”
“화살을 시위에 메기다”

▶「-하데」와「-하대」

이 말도 TV방송 자막에서 예사로 틀리게 쓰는 말 중의 하나이다.

“자네 요즘 운동을 열심히 하대”
“그 친구는 곧 결혼한다고 하데”

「-하데」와「-하대」는 둘 다 동사의 어미에 붙어 쓰이는 종결어미로서, 「하데」는 ‘과거 어느 때에 직접 경험하여 알게 된 사실을 현재의 말하는 장면에 그대로 옮겨와서 말함’ 이며, [-하더군]과 같은 말이다. 「하대」는 ‘직접 경험한 사실이 아니라 남이 말한 내용을 간접적으로 전달하는 말’ 이며 [-한다고 하더군] 과 같은 뜻이다

그러므로 위의 두 문장에서도「하데」와「하대」를 아래와 같이바꾸어 써야 맞는 말이 된다.

“자네 요즘 운동을 열심히 하데”
“그 친구는 곧 결혼한다고 하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