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11 (화)

  • 구름많음동두천 0.9℃
  • 구름조금강릉 9.1℃
  • 구름조금서울 4.3℃
  • 구름많음대전 3.6℃
  • 구름많음대구 8.2℃
  • 구름많음울산 7.2℃
  • 구름많음광주 5.6℃
  • 구름많음부산 9.1℃
  • 구름많음고창 3.9℃
  • 구름많음제주 11.3℃
  • 맑음강화 1.3℃
  • 흐림보은 1.8℃
  • 구름조금금산 0.7℃
  • 구름많음강진군 6.5℃
  • 흐림경주시 8.4℃
  • 구름많음거제 7.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문화·탐방

바른 말씨로 바른 사회를 (15)

▶ [증조] 와 [종조]

“오늘은 증조할아버지 기일(忌日)이시다.”
“너의 종조할아버지 생신일은 다음달이지.”

‘증조할아버지’ 와 ‘종조할아버지’ 를 잘 분간하지 못하고 쓰는 예가 많다. [증조(曾祖)]는 할아버지의 아버지이고 [종조(從祖)]는 할아버지의 형제분을 일컬음이다. 흔히들 ‘증주할아버지’ ‘종주할아버지’ 등으로 사투리를 씀으로서 그 발음상 어린세대들이 혼동하기 십상이므로 지도에 주의를 요한다.


▶ [일가] 와 [친척]

“일가가 한자리에 모여 회의를 열었다.”
“친척들을 모두 찾아뵙고 인사를 드려야지.”
“일가친척들이 뿔뿔이 헤어져 살게 되었어.”

우리가 굳이 그 뜻을 구분함이 없이 자연스럽게 쓰고 있는 [일가] 와 [친척]은 그 뜻이 엄밀히 구분됨을 알고 써야겠다.

[일가(一家)] 는 ‘한집안 또는 동성동본의 겨레붙이’ 를 말하며 [친척(親戚)] 은 ‘친족과 외척을 아울러 이르는 말’ 또는 ‘성이 다른 일가, 내종(內從), 외종(外從), 고종(姑從), 이종(姨從) 따위’ 를 이르는 말이다. 그러므로 [일가친척] 은 ‘일가와 외척 인척(姻戚)의 모든 겨레붙이’ 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