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음속으로부터 존경하지만 단 한 번도 찾아뵙지 못했으며, 편지 아니 전화 한 번 드린 적 없어 늘 죄송한 마음 가눌 길 없는 꼭 40년 전 수원 서호초등교 4학년 담임을 맡으셨던 김기춘 선생님.
그 때 이미 선생님은 교육현장에서 근래에 유행처럼 확산되었던 열린교육이라든지 지금의 제7차 교육과정에서 창의적 재량활동과 비슷하며 체험활동 중심인 내용들을 교육하셨다. 오전 학교 수업을 마친 후 산만해지기 쉬운 오후 수업시간을 이용하여 현장학습을 하셨고, 우리는 학교를 벗어나 어딘 가로 가는 것을 좋아하며 그 때마다 견학하고 관찰한 내용을 열심히 정리했었다.
서울농대의 부속목장에서는 여러 종류의 동물들을 견학하였으며, 겨울철 먹이를 위해 '사일로'라는 저장탱크에 풀을 미리 저장해 둔다는 것을 배웠고, 선경직물이라는 공장을 견학하면서 여러 가닥의 실타래가 움직여 옷감이 짜여지는 장면을 보고 신기해했다.
또 평동에 있는 토끼털 가공공장에서는 토끼털을 가공, 예쁜 물감을 들여 털목도리의 재료를 만드는 것을, 우리 반 친구중 닭을 많이 사육하는 집에 가서 닭의 품종이름도 구분하며 견학하였는데 지금도 레그혼종이라는 품종이 기억난다.
그때 선생님은 산 교육을 시켜 주셨으며, 생활지도에서도 특별하셨다. 우리 반 아이들끼리 싸움을 한다거나, 실내에서 뛰고 떠들어 시끄럽게 하는 등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하는 친구가 있으면 선생님께서는 언제나 벌을 주셔도 반 아이들 전체에게 단체로 주셨다.
그것은 우리에게 모두 하나가 되어 잘 해야 한다는 것을 느끼게 하였고 단결심과 협동심을 키워가게 했다. 선생님은 이론적인 학습 면뿐만 아니라 생활중심의 교육과 인성교육도 중요시하신 것 같다. 세월은 흘러 그 때 총각이셨던 선생님은 3, 4년쯤 전 교장으로 정년 퇴직하신 것으로 알고 있다.
모든 아이들을 공평하게 사랑하시던 선생님, 꼭 40년이 지난 지금도 내 가슴에 생생히 기억되는 선생님의 모습을 마음에 담고 선생님을 닮아 훌륭한 교사가 되려 노력하며 살아왔다. 선생님! 이제야 지면을 빌어 선생님을 존경한다고 고백하는 어이없는 제자를 용서하여 주시고 내내 건강하시기를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