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연구는 참 매력적이다. 입상유무를 떠나 수업연구에 대한 끊임없는 동기부여가 되고 교실 수업을 더 풍요롭게 하며 아이들뿐만 아니라 교사 개인의 발전에도 큰 도움이 된다. 만약 입상까지 하게 된다면 상장 및 연구점수 부여라는 인센티브와 함께 인사기록카드에 연구실적으로 기록되므로 아이들을 향한 교사의 열정과 노력들에 대해 객관적인 인정을 받을 수도 있다.
입상, 승진도구화 안타까워
하지만 현장연구는 출품보고서의 40%만 입상이라는 대회규정으로 인해 60%는 열심히 하고도 탈락을 맛본다. 출품작의 40% 입상이라는 것은 2번을 도전하면 1번은 입상할 수 있는 확률인데, 실제 붙는 사람은 매년 붙고 탈락하는 사람은 매년 탈락한다. 현장연구가 무엇인지 알게 됐을 때, 탈락하는 60%의 교사들이 실력 부족으로 떨어지는 것이 아님을 알게 됐다.
현장연구는 하드웨어(보고서 작성법)와 소프트웨어(연구 프로그램)로 이루어져 있는데, 대부분 한번만 배우면 알 수 있는 하드웨어를 잘 모르거나 소프트웨어에 적합한 주제를 잡지 못해 탈락한다. 다르게 말하면 연구방법만 알면 처음 현장연구를 하는 사람도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현장연구를 하며 제일 안타까웠던 점은 현장연구 방법 자체가 승진과 관련 있는 전문 노하우다 보니 정보공유가 잘 되지 않는다는 것과 교실 속 아이들의 변화보다 연구대회 입상 자체만을 목적으로 한 교사들이 생각보다 많다는 것이었다.
개인적으로 현장연구를 처음 시작한 이유는 수년간 교실에서 내가 행했던 많은 노력과 열정들이 더 이상 아이들과의 좋은 추억으로만 그치지 않고 객관적인 기록으로 남기고 싶은 마음 때문이었다.
더 나아가 교실에서 직접 경험했던 학생과 교사 모두가 행복한 현장연구 방법과 가치에 대해 나누고 싶고 현장연구를 처음 도전하시는 분들이 저와 같은 시행착오를 겪지 않도록 도움을 드리고 싶었다. 그래서 ‘아이들 영혼을 만지는 예둘샘의 BEC 수업(현장)연구’ 블로그를 통해 현장연구 관련 정보들을 나누게 됐다. 1년 뒤 현장연구를 처음 도전하셨던 전국의 많은 선생님들께서 다양한 연구대회에 입상했다는 소식을 들었고 현장연구의 동기가 대회입상이 아니라 교실에서 아이들과의 행복한 수업으로 바뀌었다는 감사 문자를 보내주셨다.
‘좋은 수업’ 열정, 교사 성장케 해
간혹 컨설팅을 대가로 민간업체들 수준의 금액을 제시하는 분들이 있다. 그분들에게는 교육청 위촉 같이 공식적인 자리를 제외하고는 개인 컨설팅을 더 이상 하지 않으며 컨설팅 정보는 블로그와 책으로 이미 모두 공개했음을 설명 드린다.
현장연구는 아이들과 교사 모두에게 의미가 있어야 한다. 아이들의 필요를 고민하는 현장연구는 입상여부를 떠나 학생들뿐만 아니라 교사 개인에게도 큰 발전을 가져오며 실제로 그러한 학생중심의 현장연구가 입상에도 좋은 결과를 가져온다. 현장연구의 우선 가치가 승진을 위한 연구점수에 있지 않고 아이들과 교사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수업에 있기를, 또 그러한 현장연구가 학교현장에 더 많아지기를 소망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