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1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시론> 교육감, 누구를 뽑을 것인가

6·4 교육감 선거가 2개월 앞으로 다가왔다. 이번 선거는 광역단체장과 기초단체장 등을 함께 뽑는 지방선거기 때문에 유권자들의 관심이 온통 그쪽으로만 기울어져 있다. 이전에도 그랬듯 누구를 교육감으로 뽑을 것인가에 대해서는 별로 관심이 없다. 후보자들을 일일이 검토해 보는 것이 쉽지 않을 뿐더러 특히 현 교육감을 제외한 다른 후보자들의 인지도는 그리 높지 않아서 과연 누구를 뽑을지 막막한 현실이다.
더군다나 이번 교육감선거는 교육경력 없이도 입후보할 수 있기 때문에 교육의 전문성과는 무관한, 정치적으로 인지도가 높거나 특정 정당과 이념집단의 비호를 받은 후보가 여론몰이에 밀려 교육감으로 잘못 선출될 수도 있다.

잘못 뽑은 교육감, 백년대계 망쳐

그러나 잘못 뽑은 교육감으로 인한 교육의 결과는 고스란히 교사와 학생, 학교, 학부모들이 떠안아야 한다. 흔히 백년대계라 하는 교육을 책임지고 막중한 업무를 수행할 교육감은 그 역할의 중요성으로 본다면 어느 선거보다도 신중하고 현명한 선택의 과정이 필요하다.

이 땅의 교육현장이 흔들리고 교권이 무너지고 공교육이 사교육 앞에 맥을 못 추는 이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 우리는 어떤 사람을 교육감으로 뽑아야 하는가.

첫째, 교육감 출마자의 교육정책이 교육현장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의지가 있는가에 대해 살펴봐야 한다. 교육정책 공약이 단순히 표를 얻기 위한, 실현 가능성도 없는 인기영합 위주(populism)의 검증되지 않은 공약인지 검토해야 한다. 또 오늘날 교육현장의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확실하게 제시하고 있는지, 실천 가능한 정책인지 따져봐야 한다. 교사들의 사기진작과 학교경영의 자율권을 얼마만큼 보장할 수 있는 정책을 갖고 있는가도 확인해야 한다.

둘째, 교육감은 현장교육의 경력자로서 교육의 전문성 신장과 교권존중 풍토를 위한 특단 의 처방을 제시해야 한다.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능가할 수 없다’는 말처럼 교육감의 역할 수행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현장교육 경력이 필수적이다. 또 보호받아야 할 미성숙한 학생들에게 의무와 책임, 타인 배려의 정의적 교육에 앞서 인권 보호를 강조하다 보니 학교 현장은 무질서의 장이 돼 버렸다. 교사의 교육적 지도마저도 폭력으로 매도되고 있다. 때문에 교사가 자긍심을 가지고 교단에서 교수활동을 할 수 있는 교권존중 풍토와 교권회복을 위한 정책공약을 확인해야 한다.

셋째, 교육에는 보수, 진보가 따로 없어야 한다. 교육감은 전환된 사고로 교육의 구성원 전체를 아우를 수 있는 통합의 리더여야 한다. 선거공신들을 각별히 챙기는 관료형이나 말 잘하는 정치가 스타일보다는 전환적 사고를 소유한, 교육에 관계된 모든 교직단체와 학부모단체와의 원만한 관계형성이 가능한 사람이어야 한다.

넷째, 청렴결백과 참신함을 갖춘 올곧은 인품의 소유자라야 한다.
교육계의 수장이 되려고 하는 사람이 돈과 명예를 따르고 생색내기를 좋아하면 안 된다. 교육감의 인사권은 막대하다. 금권, 탈법, 비방, 중상모략도 배격해야 한다. 또 교육과 관련한 이권사업들에 대해서도 그 유혹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뱃심이 있어야 한다.

공약·교육관·교육경력 살펴 선택하자

남은 두 달여의 시간동안 우리는 교육관이 투철하고 청렴결백하며 교권을 존중하는 풍토를 조성할 수 있는 후보자를 판단해야 한다. 또 교육현장에서 다양한 경험을 쌓고 집단의 조직을 관리할 수 있는, 위기관리능력이 탁월하고 전환적 사고를 갖춘 자를 선택해야 한다.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것은 학생, 학부모, 국가사회가 필요로 하는 교육을 위해 신명을 바칠 수 있는 자여야 한다는 것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