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론> 교육감, 누구를 뽑을 것인가
6·4 교육감 선거가 2개월 앞으로 다가왔다. 이번 선거는 광역단체장과 기초단체장 등을 함께 뽑는 지방선거기 때문에 유권자들의 관심이 온통 그쪽으로만 기울어져 있다. 이전에도 그랬듯 누구를 교육감으로 뽑을 것인가에 대해서는 별로 관심이 없다. 후보자들을 일일이 검토해 보는 것이 쉽지 않을 뿐더러 특히 현 교육감을 제외한 다른 후보자들의 인지도는 그리 높지 않아서 과연 누구를 뽑을지 막막한 현실이다. 더군다나 이번 교육감선거는 교육경력 없이도 입후보할 수 있기 때문에 교육의 전문성과는 무관한, 정치적으로 인지도가 높거나 특정 정당과 이념집단의 비호를 받은 후보가 여론몰이에 밀려 교육감으로 잘못 선출될 수도 있다. 잘못 뽑은 교육감, 백년대계 망쳐 그러나 잘못 뽑은 교육감으로 인한 교육의 결과는 고스란히 교사와 학생, 학교, 학부모들이 떠안아야 한다. 흔히 백년대계라 하는 교육을 책임지고 막중한 업무를 수행할 교육감은 그 역할의 중요성으로 본다면 어느 선거보다도 신중하고 현명한 선택의 과정이 필요하다. 이 땅의 교육현장이 흔들리고 교권이 무너지고 공교육이 사교육 앞에 맥을 못 추는 이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 우리는 어떤 사람을 교육감으로 뽑아야 하는가. 첫째, 교
- 김장용 학교바로세우기전국연합 전남회장·전 전남교총 회장
- 2014-03-20 1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