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學問)’의 본질은 ‘배우고 묻기’다. 배움은 모르는 것에 대한 탐구이며 ‘왜?’라는 물음이 있을 때 이뤄진다. 처음 학교에 간 아이들은 질문을 자주 한다. 질문하는 것을 창피스럽게 생각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런데 중고교 시절에 이르면 입시위주, 암기위주 교육으로 정답 찾기 교육에 몰입한다. 시험에 나온다는 말을 듣고 무조건 외워서 답을 한다. 창의적인 인간의 육성은커녕 천편일률적인 학생을 양성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교육방송에 나온 어느 중1 도덕과목 문제를 예로 들어 보자. 문제는 ‘대체로 사람의 꿈은 언제 결정되는가?’이다. 주어진 선택 항목은 (1)10대 (2)20대 (3)30대 (4)40대 (5)50대이다. 어느 것이 정답일까? 정답은 (1)이다. 왜냐고 묻자 학생들은 교과서에 그렇게 나와 있어서 암기했단다. 말이 되는가? 사람의 꿈이 어떻게 10대에만 결정될 수 있는가 말이다.
이제 우리의 교육방법도 바뀌어야 한다. 틀에 박힌 정답 찾기 교육에서 벗어나 토론식 교육으로 달리해야 할 시점이다. 유태인의 경우를 보자. 칼 마르크스, 지그문트 프로이드, 알버트 아인슈타인처럼 20세기 인류 역사를 바꾼 천재들은 모두 유태인이라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굳이 이들을 언급하지 않아도 전 세계 인구 중 0.2% 내외의 유태인이 역대 노벨상 수상자의 23%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유태인의 우수성은 드러난다.
이들은 어떻게 인재를 키워 냈을까? 많은 사람들이 연구를 거듭해 얻어낸 결론은 엄청난 교육열과 특별한 교육방법이다. 우리나라의 교육열도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부러워할 정도로 높다. 결국 교육방법의 차이에 주목해야 한다.
유태인들의 특이한 교육방법 중 대표적인 것이 예시바(Yeshivah)다. 예시바는 유태인의 전통적인 교육기관으로 일종의 도서관이다. 이곳은 탈무드를 공부하고, 유태인의 가치를 연구하는 곳이다. 예시바가 다른 도서관과 달리 특별한 점은 조용히 책을 읽는 것이 아니라 큰소리로 떠들고 토론을 한다는 것이다. 예시바의 책상은 둘 이상이 마주보고 앉도록 놓여 있다. 바로 토론과 논쟁을 위한 좌석배치다. 유태인들에게 공부는 책을 읽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과 의견을 나누고 소통을 하는 것이다. 그것을 통해 자기 의견을 발전시키고 책의 의미를 더 깊이 파악하게 된다.
유태인이 인구가 적지만 노벨상 수상자가 많은 이유는 항상 궁금증을 갖고 질문을 많이 하기 때문이다. 세상의 모든 것에 대해 궁금증을 갖고 질문하며 토론을 통해 자란 유태인들은 정체성 확립은 물론이고 자신이 ‘이 세상에서 무엇을 할 것인가’에 대해서도 자연스럽게 알게 된다.
토론이 잘 이뤄진다는 것은 ‘남과 다르다’는 것을 인정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이들에게는 ‘남보다 뛰어난 것’이 아닌 ‘남과의 다름’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유태인의 격언 중에 ‘100명의 유태인이 있으면 100개의 서로 다른 생각이 존재한다’는 말이 있다. 질문과 토론을 통한 공부, 비판적 사고를 통해 도달하는 창의성의 발견, 이것이야말로 유태인 교육의 본질이자 저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우리 학교도서관에도 대화와 토론의 장을 마련하는 방안은 없을까? 첫째, 독서토론동아리를 결성해 보자. 마음이 맞는 학생들끼리 자율적으로 동아리를 활성화 해 주기적으로 주제 및 도서를 자유롭게 선정, 소통과 교감의 장을 여는 것이다. 자유롭게 토론과 논쟁을 하게하고 그 내용을 글로 정리하게 한다면 효과적일 것이다.
둘째, 성향이 다른 두 개 이상의 신문을 통한 독서토론 대회를 열어 보는 것도 방법이다. 똑같은 사건이나 주제라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내용이 달라진다. 두 팀으로 나누어 토론대회를 열어 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셋째, 독서캠프를 개최해 보자. 독서교육지도교사의 지도하에 이슈가 되고 있는 몇 개의 주제를 정해 찬반토론을 벌여 본다. 모둠별로 주제를 정해 모둠 찬반토론을 한 후 발표하는 기회를 가져봄으로써 비판능력과 창의적이고 유연한 사고를 기를 수 있다.
도서관은 과거의 지식을 현재의 지혜로 바꾸는 마법의 공간이다. 이 공간에서 마음껏 질문하고, 대화하며 남과 다른 생각을 해보자. 대화와 토론을 통해 질문에 대한 해답을 스스로 찾고 서로가 다르다는 것을 인정함으로써 상대를 배려하는 마음도 커지게 될 것이다. 우리도 각자의 개성으로 진정한 앎과 살아있는 지식을 추구하는 ‘시끄럽게 떠드는 도서관’을 꿈꿔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