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의 눈>시끄럽게 떠드는 도서관을 꿈꾼다
‘학문(學問)’의 본질은 ‘배우고 묻기’다. 배움은 모르는 것에 대한 탐구이며 ‘왜?’라는 물음이 있을 때 이뤄진다. 처음 학교에 간 아이들은 질문을 자주 한다. 질문하는 것을 창피스럽게 생각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런데 중고교 시절에 이르면 입시위주, 암기위주 교육으로 정답 찾기 교육에 몰입한다. 시험에 나온다는 말을 듣고 무조건 외워서 답을 한다. 창의적인 인간의 육성은커녕 천편일률적인 학생을 양성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교육방송에 나온 어느 중1 도덕과목 문제를 예로 들어 보자. 문제는 ‘대체로 사람의 꿈은 언제 결정되는가?’이다. 주어진 선택 항목은 (1)10대 (2)20대 (3)30대 (4)40대 (5)50대이다. 어느 것이 정답일까? 정답은 (1)이다. 왜냐고 묻자 학생들은 교과서에 그렇게 나와 있어서 암기했단다. 말이 되는가? 사람의 꿈이 어떻게 10대에만 결정될 수 있는가 말이다. 이제 우리의 교육방법도 바뀌어야 한다. 틀에 박힌 정답 찾기 교육에서 벗어나 토론식 교육으로 달리해야 할 시점이다. 유태인의 경우를 보자. 칼 마르크스, 지그문트 프로이드, 알버트 아인슈타인처럼 20세기 인류 역사를 바꾼 천재들은 모두 유태인이라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 김해겸 청덕고 교장·용인대 외래교수
- 2014-03-13 16: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