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1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의 눈> 학교장, 새터민의 멘토가 되자

새터민 정착 어려움 커
‘적응을 위한 교육’ 절실

교장 인적·지적 자산 활용
결연 운동 펴 적응 지원을

현재 우리나라에서 함께 살고 있는 새터민은 2만 5000여 명에 이른다.

보통 새터민은 북한에서의 궁핍한 삶에서 벗어나고자 생사를 넘나드는 어려움을 이겨내고 남한사회로 온다. 하지만 정작 남한으로 왔을 때, 상이한 체제에 대한 적응과 상대적 빈곤, 사회적 편견과 차별 등으로 정착에 어려움을 겪는다.

현재 새터민이 국내로 입국하면 북한이탈주민정착지원사무소 ‘하나원’에서 적응훈련을 받는다. 직업훈련, 경제교육, 한국 정착을 위한 제도 안내 교육 등이 진행되지만 기간도 너무 짧고 기본적으로 소통에 필요한 언어·용어조차 간극이 너무 크기 때문에 효율적인 교육이 진행되기 어려운 상황이다. 게다가 1년이 경과하면 새터민이 보호신청을 해도 보호 대상에서 원칙적으로 제외된다. 이런 이유 등으로 어렵게 남한사회로 온 새터민이 적응하지 못하고 재입북하는 경우도 있다고 하니 문제다. 그러므로 정부가 추진하는 새터민 정착 지원 정책은 상당한 보완이 요구된다.

하지만 새터민 문제는 정부의 정책적 노력에만 의지할 것이 아니라 민간차원의 적극적 도움도 필요하다. 따라서 오랫동안 교직에 몸담아 온 한 사람으로 학교장과 새터민의 결연 운동을 제안한다. 지금껏 교원으로써 국가와 사회로부터 받았던 혜택을 이제 사회에 돌려주기 위한 실천으로 새터민 정착에 앞장서자는 것이다.

낯선 환경에서 외로움을 느끼는 새터민과 학교장이 인생의 멘토-멘티의 관계로 결연이 되면, 새터민이 난생 처음 경험하는 시장경제와 자유민주주의 체제에 대한 적응도 한층 더 속도를 낼 수가 있으리라 믿는다. 더 나아가 상담뿐만 아니라 학력과 경력에 따른 직업 알선도 충분히 가능하다. 무엇보다 다른 체제 속에서 살아온 새터민에게 인증된 국가관을 가진 교장으로서 ‘출발선의 기회균등’ ‘과정의 공정’ ‘결과의 공평’을 포괄하는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원리를 기초부터 잘 터득하도록 도와줄 수 있다.

더 큰 매력은 학교장은 학부모와 제자, 기타 사회 인사와의 끈끈한 직·간접 인연을 맺고 있다는 것이다. 이런 국가적 자산을 새터민의 남한사회 적응을 돕는 자원 봉사자로 활용한다면 새터민 정책에 큰 성과를 더할 수 있지 않을까?

새터민은 육체적 호흡뿐만 아니라 영혼의 호흡으로 사는 같은 동포다. 역사적 비극으로 갈려 사선을 넘어온 그들과 정서적 이격(離隔)이 없을 수는 없지만 그 간극(間隙)을 좁히려 노력해야 한다. 그들은 거칠었던 시대에 갖은 신산(辛酸)을 다 겪고 화상(火傷)을 입은 사람들이다.

단단한 얼음은 작은 송곳에 쪼개지고 두터운 눈은 한줄기 봄바람에 녹는다. 비록 분단의 시간만큼 사회·경제적 차이가 생겼지만 우리는 같은 역사와 문화를 공유했기에 민족의식이나 동질성 회복은 조그만 노력으로 가능할 것이다.

몇 년 전 모 종교단체의 도움으로 연해주의 아그로 상생 농장을 견학할 기회가 있었다. 당시 한국인 농장 책임자가 한 말이 지금까지 뇌리를 떠나지 않는다.

“정부의 배급에만 의존하는 사회주의 체제에 젖어서 능력에 따른 보상과 실적에 따른 봉급 개념을 교육 시키는데 일 년 이상이 걸렸습니다.”

우리를 믿고 생사의 위험을 감수한 그들이 망망대해와 같은 고독감·고립감을 안고 끝도 보이지 않는 사막 벌판에 놓여있다. 새터민을 상대로 하는 사기 등의 범죄도 늘고 있는 추세기 때문에 새터민의 정착 지원은 이중 삼중의 보호막이 꼭 필요하다.

남한 사회의 환상이 깨지는 순간 그들이 느끼는 실망감, 환멸, 배신감, 분노는 그들로 하여금 극단적 선택을 하게 할 수도 있다. 이제는 정부뿐만 아니라 사회단체, 국민 모두가 관심을 가져야 한다.

새터민 정착을 위해 정부와 많은 민간단체들이 노력하고 있지만 여전히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무엇보다 이들은 경제적·사회적 원인에 따른 교육격차 때문에 지원하는 다른 소외계층과는 다르다. 새터민은 경제적 지원 보다 ‘적응을 위한 교육’이 중요하다는 점에서 우리 교육자의 노력이 절실하다.

새해에는 탈북자들의 엘레지(비가· 悲歌)보다는 송무백열(松茂栢悅)의 환희에 찬 희망가가 울려 퍼지기를 기대해 본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