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사 수능 필수과목 지정이 확정까지의 여정은 길었다. <그래픽 참조>
지난 6월 20일 안양옥(사진) 교총회장이 취임 기자회견에서 ‘한국사 수능 필수과목 채택’을 요구할 때까지만 해도 교육부는 “어렵다”는 입장을 견지했기 때문이다. 안 회장의 발언 이후 박근혜 대통령이 역사과목의 평가 반영을 언급했고, 교총은 7월 12일 청와대, 정부, 국회, 정당, 시·도교육청에 역사교육 강화 건의서를 전달하고, 교원 인식조사를 실시하는 등 지속적으로 여론 형성에 앞장섰다.
여론에 밀린 교육부가 2시간 수업확대 안을 들고 나왔지만 일본 등에서 연이어 불거진 역사왜곡 발언에 ‘역부족’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이때까지만 해도 새누리당과 교육부는 수능보다 표준화 한국사시험 도입 등을 검토했다. 이때부터 안 회장은 ‘왜, 수능이 가장 현실적 방안인지’를 국회의원들을 일일이 만나 설득하기 시작했다. 7월 10일부터 한 달여 동안 안 회장이 직접 만난 의원만 10여 명이 넘는다. 지난달 21일에는 황우여 최고대표위원까지 만나 수능필수 지정의 타당성을 알렸다.
공청회와 토론회, 방송활동은 하루에도 수차례 하기도 했다. 교총은 7월 30일 국회 동북아역사왜곡대책특별위원회 주최 공청회, 지난달 8일 열린 교육부 주최 ‘역사교육강화 전문가 토론회’ 등에도 참여했다. 12일에는 안 회장이 직접 이용섭 민주당 의원실에서 주최한 토론회에 참여, 수능 필수 지정의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이 날까지만해도 한국사 수능 필수화는 거의 굳히기에 들어간 것으로 보였다. 역사교육강화방안과 함께 발표가 예정돼 있었지만 당‧정 협의과정에서 여론수렴을 좀 더 거치기로 하면서 또 다시 미뤄졌다.
교육부는 14~16일 성인남녀 1400명을 대상으로 전화조사를 실시했고, 그 결과 응답자의 52.7%(738명)가 수능필수를 한국사교육 강화방안으로 선택했다. 학교별 한국사시험(19.3%), 한국사능력검정시험 활용(17.0%), 표준화시험 도입(11.0%) 순으로 뒤를 이었다. 서남수 교육부장관은 지난달 27일 브리핑에서 “여론수렴 과정을 거쳐 한국사 수능필수 지정이 효과적이라는 결론에 이르게 됐다”면서 “국민적 요구를 충분히 반영한 조치”라고 답변했다. 교육부는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면서 한국사 시험부담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2014년 상반기에 안내할 예정이다.
2개월에 걸친 긴 여정 끝에 수능필수 지정은 됐지만 한국사교육 강화를 향한 진짜 험난한 길은 이제부터다. 근현대사 교과서 편향성 문제 등을 해결해야 하기 때문이다. 새누리당 김무성 의원이 ‘좌편향 역사 논란’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는 취지로 가칭 ‘근현대사 역사교실’ 결성을 추진하는 것도 이런 이유다. 안 회장은 “한국사 수업을 학년마다 적절히 분배해 연속성 있는 교육을 시행하는 등 교육내용‧분량 정제를 위한 교육과정‧교과서 개편에 힘을 모을 것”이라며 “교실에서 바르게 가르치고 배울 수 있도록 교육계가 지혜를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