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교과연수에서 한 교사가 “안중근 의사가 독립운동을 할 수 밖에 없었던 이유를 시대적 배경을 참고해 논술하라”는 문제를 출제했었다고 한다. 그런데 “그 당시 의사는 잘 사는 계층이었을 텐데 왜 독립운동을 했는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답한 학생도 있었다고 한다. 이 학생은 역사의식이 전혀 없었을 뿐만 아니라 의사(義士)의 뜻도 모르고, 병원의 의사(醫師)로 판단한 것이다. 정말로 역사의식 부재가 얼마나 심각한지 알 수 있었다.
최근 한 방송의 예능프로그램에서도 한국사 강의를 방영한 것도 눈에 띄었다. 학교에서 교사들이 충분히 지도하지 못하는 것을 젊은 학생들이 주로 시청하는 오락방송을 통해 다시 한 번 되짚어보는 것은 의미 있고 필요한 일이다.
그러나 이런 일들이 일어나는 배경에는 씁쓸한 우리 학교의 현실이 있다. 집중이수제가 실시되면서 한국사는 1년 만에 이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수능시험에서도 한국사가 필수가 아닌 선택과목이어서 한국사의 존재가치가 퇴색되고 있다. 우리의 교육현실에 비춰 볼 때 청소년들의 역사인식이 바닥 수준인 것은 어쩌면 너무나도 당연한 일이다.
하지만 세계 여러 국가들은 자신들의 역사를 필수과목으로 지정해 교육시키고 있다. 그런데 우리는 우리의 뼈아픈 전쟁인 6.25 전쟁, 우리나라 민주주의를 상징하는 민주화운동도 학생들에게 먼 역사 속의 이야깃거리로 만들고 있다.
필자의 학창시절에는 중·고교에서 의무적으로 문과와 이과에 관계없이 국사를 모두 배웠다. 방송에서도 역사에 근거를 둔 정통사극이 인기였기 때문에 학교에서 배운 국사를 밤에 생생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마저도 요즘에는 퓨전사극으로 인해 인기가 떨어지는 정말로 가슴 아픈 현실에 직면해 있다.
단재 신채호 선생은 “영토를 잃은 민족은 재생할 수 있어도 역사를 잃은 민족은 재생할 수 없다”며 역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우리나라도 아직 늦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중등교육에서는 한국사를 필수과목으로 지정해 반드시 이수할 수 있도록 하고, 수학능력시험에서도 필수과목으로 정해야 한다. 나아가 공무원과 교사, 그리고 공공기관 및 공기업, 그리고 대기업 및 중소기업 공개채용에서도 한국사능력검정시험 합격자에 한해 채용할 시 인센티브를 주는 정책도 시행되면 더욱 좋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