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 옛날 인류는 흙으로 빚은 판이나 무두질해서 만든 값비싼 양피지에 기록을 했다. 이때는 지식을 소유하는 것이 곧 부의 상징이었다. 곧이어 이집트에는 파피루스가 중국에서는 채륜을 통해 종이가 등장했고 혁신적인 매체의 전환이 일어났다. 하지만 여전히 책은 비쌌다. 일일이 공수를 들여 글을 써야 했기 때문이다. 그나마 목판 인쇄술이 나오면서 조금 완화됐지만 목재의 특성상 틀어짐도 많고 내용 정정을 위해 전체 판을 바꿔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긴 학습시간, 짧은 수업 준비
종이의 발명 이후 매체의 획기적인 전환이 일어난 것은 바로 금속활자가 발명되면서부터다. 구텐베르크의 성경이 아닌 직지(直指). 최초의 금속활자는 우리나라에서 시작 되었다. 금속활자의 등장은 부유함의 상징인 책의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만들었고, 식자층을 두텁게 만들었다. 매체 역사의 한 흐름이 우리나라에서 시작된 것이다. 그런 역사를 가진 우리나라가 그 역사의 흐름에 이어 교육현장에서 새로운 매체의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다. 21세기의 한 교실로 함께 가보자.
학생들은 종이 교과서 대신 ‘e-교과서’의 ‘내 서재’에 담겨져 있는 교과서 버튼을 클릭한다. 수업시간마다 의례 반복되던 “이번시간 몇 페이지부터 할 차례입니까?”란 질문은 사라졌다. e-교과서와 함께라면 ‘마지막 본 페이지에서 이어서 보시겠습니까?’라는 메시지와 함께 지난 시간에 배웠던 내용으로 바로 이동한다.
국어 시간. 학생들은 조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e-교과서에 기록을 한다. 터치펜, 자판, 블루투스 키보드를 이용해 입력하는 아이로 학생들은 각자가 편하고 익숙한 방법으로 저만의 글 솜씨를 뽐낸다. 화려한 색상의 필기구를 가득 담은 필통도 필요 없다. 펜 굵기, 색상 등을 자유롭게 조절 할 수 있는 펜으로 그때그때 필요한 색으로 필기할 수 있다. 사진을 붙이기 위해 풀과 가위를 동원할 필요도 없다. 사진의 링크를 거는 활동만으로 마무리된다.
무거운 사전이 없어도 필요한 단어를 즉시 찾을 수 있고, 멀티미디어 자료를 링크할 수 있고, 내 목소리를 녹음할 수도, 메모 기능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각 단원의 마지막 부분에는 ‘단원 평가 문제’가 마련돼 있다. 학생들은 각자의 e-교과서로 문제를 풀고, 교사는 솔루션을 이용해 실시간으로 확인과 제어를 할 수 있다. 단원 평가를 출제하고 인쇄하고 다 풀고서도 채점하는 시간을 기다리는 모습은 사라졌다. 학생들의 실제 학습 시간(ALT:Academic Learning Time)이 길어지며, 교사의 경우 수업 준비 시간이 더 짧아져서 그 시간을 다른 교육 연구 활동에 쓸 수 있다.
위의 내용은 가상의 모델이 아니다. 2013년 4월에 실제 있었던 수업이다. e-교과서를 통해 열린 새로운 교실 수업 상황은 학교 현장의 교육에 변화의 바람을 불어 넣고 있다. 더 이상 자기 몸보다 부피가 큰 가방을 이고 진 채로 힘겹게 등하교 할 필요가 없어졌다. 학교에 교과서를 두고 집에서도 e-교과서를 이용하면 되니까. e-교과서를 통해 학생들의 어깨는 가벼워지고 원하는 매체를 활용해공부할 수 있는 기회는 더욱 다양해졌다.
우려 있지만 다듬어질 시간 줘야
물론 아직까지 학교 현장에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e-교과서가 보완하고 나아가야 할 길도 아직 많이 남아 있으니까. 어느 세대에나 그렇듯 기술이라는 것은 한 순간에 뚝딱하고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 수년에 걸쳐 다양한 시도와 검증을 통해 다듬어지고 수정 보완돼 결국 하나의 작품이 완성된다. 이 시대에 디지털 직지 e-교과서 역시 우리나라가 가장 앞선 기술로 세계를 선도하고 나아가 세계 교육계에 기여하는 날이 하루 속히 오기를 고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