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옆 반 다문화학생 한 명이 우리 반에 심부름을 왔다. 재작년부터 다문화학생들을 관리해 왔기 때문에 눈에 익은 학생이었다. 아버지는 미국인이고 교육에 관심이 많아 종종 학교 행사에 참가하곤 하셨다. 외모는 다른 학생들과 눈에 띄게 다르며 아주 예쁘게 생긴 아이였다.
그 아이가 교실에 오자 대번에 책을 읽던 우리 반 2학년 꼬마가 외쳤다. “외국인이다!” 나는 그 아이가 가고 나서 우리 반 아이에게 말했다. “에이, 소이가 왜 외국인이야. 한국 사람이지. 우리말도 저렇게 잘하는데?” 어린아이에게 이해시킬 수 있는 말이라고는 우리말을 잘한다는 것뿐이어서 조금 부끄러웠다. “얼굴이 다르게 생겼잖아요.” 하고 웃으며 다시 책을 읽는 아이에게 더 이상 아무 이야기도 할 수 없었다.
우리 학교에는 세계 여러 나라의 부모님을 가진 다문화 학생들이 많다. 하지만 모든 다문화 학생들이 같은 어려움을 겪지는 않는다. 어떤 아이들은 문화 결핍을, 어떤 아이들은 다른 외모로 인한 친구들의 놀림을, 어떤 아이들은 낮은 자존감으로 인한 자신감 결여를 경험하며 이 땅에서 살아가려 애쓰고 있다. 그리고 이런 다문화 학생들을 ‘구제’하기 위한 수많은 정책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그러나 어쩌면 문제는 그들이 아니라 그들을 바라보는 우리가 아닐까? 우리가 걱정하는 그들의 미래는 엄마가 외국인이기 때문에, 문화적 혜택을 받지 못하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 아니라 그들과 함께 살아가는 우리가 그들을 외국인인지 한국인인지도 구분하지 못한 채 바라보면서 그들을 고립시키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 아닐까?
최근 발표된 2012년 다문화가정 학생 현황에 따르면 전체 다문화 학생 중 94.4%가 국제결혼가정 자녀이며, 한국에서 태어나 자란 국내출생자녀는 그 중 90%다. 그렇기에 대부분의 다문화가정 학생들에게 한국어교육 만큼이나, 혹은 그 이상으로 필요한 것은 그들을 다른 친구들과 다르지 않게 봐주는 사회의 시선이다.
이제는 다문화 학생을 위한 지원과 정책뿐만 아니라 외모가 다르고 부모의 국적이 달라도 그들 역시 한국에서 태어나 한국의 문화를 익히고 자라게 될 한국인이라는 것을 학생들에게 올바르게 인식시켜줄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한 시점이다. 그들이 어느 다문화 공익광고의 카피처럼 대한민국의 꿈나무로 자랄 수 있기 위해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