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5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릴레이기고> 바른 언어에서 바른 마음이 자란다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 ④

21세기 사회에서는 창의력과 인성을 고루 갖춘 인재를 원하고 있다. 그래서 대학은 입학전형을 다변화하고, 기업에서도 공감과 배려심을 갖춘 인재를 뽑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현실적으로 고등학교에서는 대학입학을 위해 성적을 중요시 한다. 그런데 성적 못지않게 인성교육도 중요하게 생각해야 하지만 아무리 인성교육을 대학입학에 반영한다 해도 수치로 표현할 수 없는 한계로 인해 어려움을 많이 겪는다.

달걀로 바위치기라도

그러다보니 인성교육은 마치 뜬구름 잡는 이야기처럼 허황되게 들릴지도 모른다.

그러나 필자가 좋아하는 이야기 중 달걀로 바위치기가 있다. 쓸데없는 짓을 하는 것을 의미하지만 오히려 달걀로 바위를 치면 안 친 바위와는 다르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인성교육에 대한 시도 그 자체가 중요하다. 작은 달걀의 힘으로 정말 바위에 변화를 줄 지 누가 알겠는가.

그렇다면 인성교육은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까? 옛날에는 신언서판이라 해서 글과 말은 그 사람의 인격을 드러내는 매우 중요한 요소로 생각했다. 오늘날에도 말과 글 교육에서부터 인성교육을 시작할 수 있을 것이다.

가장 직접적으로 말과 글을 배우는 국어교과 시간은 언어를 통한 인성교육의 중요한 기회가 된다. 국어 시간을 통해 실천할 수 있는 몇 가지 인성교육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시, 소설, 수필, 극 등 문학 작품을 입시교육의 대상이 아닌 정서를 순화하고 마음을 치유하는 문학치유의 도구로 볼 필요가 있다. 학생들에게 문학작품을 읽고 그 작품이 오늘을 살아가는 자신에게 어떤 의미일지 한 줄 혹은 100자 이내로 느낌을 표현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 후 다른 친구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공감하는 시간을 가지면 상대방의 정서와 태도를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훈련이 된다.

둘째, 자신의 생각을 바른 말과 글을 통해 표현하는 법도 배워야 한다. 이를 위해 일기 쓰기와 같이 자신의 언어생활에 대한 메모를 하면서 언어생활을 반성해보고 고쳐나가는 습관을 갖도록 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요즘에는 인터넷을 통해 너무 쉽게 말하고 그 말을 너무 쉽게 바꿀 수 있어 자신의 생각을 여과 없이 말하는 경우가 많다. 직접 종이에 자신의 생각을 써보고 돌이켜보는 시간을 가짐으로써 말하고 글쓰기 전에 다시 한 번 생각해보고 신중하게 말하는 태도가 길러질 것이다.

경청 통해 배려·공감 길러야

셋째, 다른 사람들의 말을 들어주는 훈련도 중요하다. 수업시간에 다른 친구의 발표 내용을 정리해보고 자신의 생각을 발표하게 하는 수업은 듣기 수업의 기본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수많은 격려의 말을 해 줄 때보다 자신의 말을 잘 들어줄 때 큰 힘을 얻는다고 한다. 이와 같이 수업 시간에 다른 사람 말을 경청하는 태도를 지도하고 훈련시킨다면 배려와 공감의 인성을 기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사실 인성교육은 이미 예전부터 학교에서, 교과 속에서 그리고 생활 지도 속에서 이뤄지고 있었다. 동방예의지국이라 불리던 우리나라에서 너무나도 당연한 인성에 대해 새로이 교육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져가는 사실이 씁쓸하면서도 공교육을 하는 교사로서 무한책임의식을 느끼게 한다. 오늘도 수업시간에 교과를 통해 학생들에게 따뜻한 마음을 전달하고자 노력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