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대식 참석자들이 언어폭력 추방 피켓 퍼포먼스를 펼치고 있다. 이효상 hyo@kfta.or.kr
동영상보니 심각성 ‘확’
“행사 참여하길 잘했다”
발대식에서는…○…발대식에 참석한 학생과 언어문화 개선 선도학교 교원, 교육단체장, 학부모들은 이 자리에서 언어폭력 추방 피켓을 들고 “학교폭력 STOP” “언어폭력 NO”라는 구호를 제창하며 의미를 다졌다. 피켓 퍼포먼스에 참여한 서울우면초 신민지(6학년) 학생은 “게임을 하다가 잘 안 되면 친구들끼리 욕을 하는 경우가 있다”며 “오늘 행사를 통해 앞으로 언어폭력을 쓰지 않도록 노력해야겠다는 마음이 들었다”고 소감을 밝혔다.
○…한국교총과 EBS가 제작·편집한 ‘욕설’ 실태 동영상이 나오는 순간, 참석자들은 자신들의 귀를 의심했다. 서울우면초 정지영 교사는 “말로 설명하는 것 보다 동영상과 연극을 보니 심각성을 이해하게 된다”며 “우리 반 아이들과 오늘 이 행사에 참여하길 잘했다”고 말했다. 조윤수(6학년) 학생은 “앞으로는 친구들에게 더 따뜻한 말로 대해야 할 것 같다”고 다짐했다.
○…이주호 교과부 장관은 개회사에서 어릴 때 심한 욕설을 들으면 뇌에서 지워지지 않는 상처가 남는다는 하버드대 연구 결과를 인용하면서 “언어가 한 사람의 인격을 만드는 중요한 사회적 도구인 만큼 인성교육 강화와 학교폭력 근절에 언어문화개선사업이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장관은 특히 “언어문화 개선 사업이 선도학교에 그치지 않고 모든 학교에 확대될 수 있도록 우수사례 발굴과 확산에 적극 노력하겠다”고 다짐했다.
○…안양옥 한국교총 회장은 “대부분의 학교폭력이 언어폭력에서 비롯된다”며 “한국교총에서는 현장 교사가 주도하는 학교 문화를 교총이 만들어가겠다”며 “선생님들이 언어문화개선사업을 열심히 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언어폭력이 학교폭력으로 이어진다는 것은 모든 참석들이 공감했다. 김대성 충북부교육감도 “과거의 언어 경험이 현재의 삶을 결정한다”고 언어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곽덕훈 EBS 사장도 “눈과 귀를 즐겁게 하는 콘텐츠보다는 가슴을 울리는 콘텐츠로 언어문화개선에 앞장서겠다”고 했다. 송인정 전국학운위연합회장도 “학부모들도 언어문화개선에 동참하겠다”고 의지를 밝혔다. 교총은 앞으로 학생언어문화개선 학생동아리 공모, 선도학교 권역별 컨설팅, 원격직무연수 운영, 언어폭력 극복사례 전파, 한글날 특별수업 실시, 교육동영상 등 자료 제작·보급 등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
욕 시험’ 읽어보세요
매월 11일 ‘세움의 날’
선도학교는 어떻게…
○…인천작전초에서는 매주 수요일을 ‘선플 달기의 날’로 정하고 학교 홈페이지에 칭찬방을 만들어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친구들과 선생님에 대한 칭찬의 글을 게시하도록 했다. 욕설이 난무하는 인터넷 공간에서 상대방을 배려하는 법을 익히게 하기 위함이었다. 이 학교 김춘원 교장은 “칭찬의 글을 교사․학생․학부모가 공유하면서 학교 전체가 밝아졌다”고 설명했다. 김 교장은 학생들이 “욕은 상대방에게 상처를 줄 수 있으며 욕을 할 때 친구들의 표정과 입모양이 미워 보인다”는 반응을 보였다며 언어폭력에 대해 생각해보기 좋은 책으로 ‘욕 시험’과 ‘욕 전쟁’을 추천했다.
○…충북 청운중(교장 변덕수) 문수미 교사는 “언어문화 개선 프로그램의 지속성을 위해 매월 11일을 ‘세움의 날’로 정했던 것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고 했다. 이날 전교생은 수업시간 중 핀버튼을 착용하고 높임말과 사랑의 말을 사용해 언어순화를 실천했다. 문 교사는 “아침 자습시간에 ‘언어생활 반성 수첩’을 실시했던 것도 도움이 됐다”고 밝혔다. 반성 수첩은 학생들이 자신의 언어생활을 지속적으로 반성할 수 있도록 유도해 학내에 긍정적 언어문화 분위기를 조성했다. 문 교사는 “학생들이 욕 이외에 다른 표현 수단을 찾지 못해 이러한 현상이 나타난 경향도 있다”며 “자유롭고 민주적인 의사소통 방법을 습득해 긍정적인 말로 자신을 표현할 수 있도록 돕겠다”고 덧붙였다.
20여 언어 순화 아이디어 제공
‘모의 방송언어 심의위’도 도움
특강에서는…
○…박인기 경인교대 교수는 참석자들에게 ‘불량언어를 배우게 된 경험 분석하기’, ‘공식적 언어활동 경험 강화하기’ 등 20여 프로그램 아이디어를 제공했다. 박 교수는 ‘나의 화법 특징 발견하고 교정하기’를 추천했는데 학생들이 부모, 형제, 친구 등에게 어떤 화법으로 말하는지 객관적으로 보고 교정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또한 대중매체를 통한 언어폭력 습득을 지적하며 “학생들 스스로가 불량 언어의 영역과 범주를 규정하고 모니터링하는 ‘모의 방송언어 심의위원회’를 운영하면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 경희여중 강용철 교사는 “또래 집단에서 스스로 참여하고 느낄 수 있는 동아리 활동을 권장한다”며 10대 학생중심의 네트워크 사이트 ‘아이두’에서 자발적 ‘외계어 퇴치운동’이 있었던 사례를 소개하기도 했다. 강 교사는 또한 “욕설이 얼마나 나쁜 의미인지 어원을 밝혀주는 것도 효과가 있다”며 “뜻을 알게 되면 욕설에 대한 반감이 생기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강 교사는 그러나 “해당 학생 수준, 학교 급을 고려해 받아들일 준비가 된 학생에게만 알려주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