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2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

교수·교사 74% “공정사회 실현 결국 교육”

교총, 교육학회 등 4개 학회 대상 설문

교수, 학자, 교원 10명 중 8명은 이명박 대통령이 집권 후반기 정책기조로 밝힌 ‘공정한 사회 실현’이 적절하다고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현 정부의 전반기 교육정책은 ‘공정한 사회와는 부합되지 않았다’고 평가했다.

교총이 4~13일까지 한국교육학회(회장 곽병선), 한국교육행정학회(회장 송광용), 한국정책학회(회장 김인철), 한국행정학회(회장 김태룡) 회원 976명(교수·학자 그룹 203명, 현장 교원 773명)을 대상으로 한 이메일 설문조사 결과를 19일 발표했다.

결과에 따르면 이 대통령이 밝힌 ‘공정사회 실현’에 대해 교수학자그룹의 87.7%, 교원의 80.7%가 ‘적절하다’고 답했다. 하지만 ‘이명박 정부의 전반기 교육정책이 공정한 사회와 부합 됐는가’라는 설문에는 교수·학자의 71.5%, 현장 교원의 62.6%가 ‘그렇지 않았다’고 답해 후반기에는 교육정책 기조의 변화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또 공정사회 실현을 위한 교육부문의 기여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74.2%(교수·학자의 86.2%, 현장 교원의 71.0%)가 ‘교육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답했다. 교육기회의 공정성 여부를 묻는 질문에는 교수·학자그룹의 51.5%가 ‘불공정하다’고 평가한데 비해 현장 교원의 58.7%는 ‘공정하다’고 답해 의견이 엇갈렸다.

‘공정한 사회 실현’을 위한 과제에 대해 교수·학자 및 현장교원들은 ▲실력에 따른 정당한 보상기제 마련(31.4%) ▲사교육 및 공교육 선택 기회 불공정 해소(22.7%) ▲공평한 교육기회 부여(21.5%) 순으로 답했으며, 교육 분야 주요 추진 정책 과제로는 의무교육확대, 교육취약계층 배려, 대학 학자금 대출확대 ▲사교육시장 억제가 중요하다고 답했다.

최근 교육정책 현안과 관련한 설문에서는 ‘학생인권조례 제정’에 대해서는 두 그룹 공히 부정적 의견이 많았으며, 무상급식에 대해서는 교수·학자, 현장교원 모두 찬반이 비슷했다. 하지만 교원평가와 관련해서는 교수·학자들이 ‘학생, 학부모의 평가’에 대해 긍정적(44.9%)이 높았던 반면 현장 교원들은 부정적이 응답이 65.0%로 높았다. 개정교육과정에 대해서는 두 그룹 모두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한편 교총과 설문에 참여한 4개 학회는 19일 서울 남대문로 대한상공회의소에서 ‘후반기 이명박 정부, 공정사회를 위한 교육과제?’를 주제로 대토론회를 갖고 ‘공정교육’에 대한 해법을 모색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