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선생님들의 마음은 매우 불안하다. 그들의 마음이 불안하고 흔들린다면 그것은 곧 학교와 교육을 불안하게하는 것이며 방황하게 하는 것이다. 어째서 이런 현상을 몰고 오게한 것일까. 선생님들이 이렇듯 제자리에 바로 설 수 없는데 어찌 참다운 교육을 기대할 수 있겠는가.
참으로 안타까운 현실이 아닐 수 없다. 교육공황 사태가 장기화되기 전에 하루 속히 그 원인을 분석하고 대책을 세워야 하며 이 지경으로 빠져들게 한 책임 또한 물어야 할 것이다. 그동안 여러차례 교육개혁이 있어 왔다. 그러나 교육본래의 틀이나 교육질서를 훼손하는 일은 없었다. 해방이후 지금까지 그나마도 다듬고 뿌리내리게 한 우리의 교육을 21세기가 열린다하여 사회적 구조상의 전면적 일대 변화가 오는 것처럼 지나친 착각의식에 빠져들어서는 안될 것이다.
우리 사회가 정의사회로 국민 모두가 잘 살 수 있는 원초적 교육개혁은 방치해 둔 채 세상타령에 매달려 새로운 것만 방만하게 내걸고 개혁쪽으로 몰고 가니 일만 늘고 가중되는 과제들은 혼돈의 연속이요 순서마저 엇갈려 참다운 교육의 자리를 찾아 앉히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우리 나라 전통적 정신문화에 바탕을 둔 인간교육실체마저 근대적 교육개혁에서 외면시되어 교육의 올바른 기준마저 세울 수 없는 현실이다. 요즘은 교원 체력단련비마저 없애 교사들을 차등별 평가로 성과금을 지급한다고 하니 교사들간의 갈등은 물론 학교장에 대한 불신의 골이 깊어져 갈 우려마저 있어 자칫 교육현장은 사랑이 아닌 배타와 이기가 상충하는 싸늘한 교육마당으로 전락하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이러한 성과급 지급의 논리는 모순의 연속이며 평생을 걸고 교직에 뛰어들어 그나마 박봉으로 깨알처럼 쌓아온 연금마저도 들먹이는 가 하면 수백명을 대상으로 한 수행평가며 가중되는 잡무 부담에 교사는 고달프다. 실로 교육의 올바른 길이 어디에 있는가. 오늘도 코흘리개 어린 제자의 손을 잡고 깡충깡충 함께 뛰노는 노교사의 그늘진 모습을 보며 나는 웃어야 할까, 울어야 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