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5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월요논단> EBS방송이 학교에 정착되기 위한 과제

수능강의 강좌 및 서비스 개선을 통해 수능강의 히트수가 지난해 보다 2배 이상 증가했다고 하지만 일선교육현장에서 느끼기는 여전히 방송프로그램 활용률이 미미한 수준이다.

최근 이명박 대통령이 “EBS 강의만 듣고도 얼마든지 수능 시험에서 좋은 성적을 낼 수 있는 제도로 가야 한다”고 강조한 것과 관련, 교육활동과 관련된 많은 사람들이 사교육비 절감과 공교육 강화라는 관점에서 높은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한국교육학술정보원장으로 근무하다 지난해 9월 취임한 곽덕훈 EBS 사장의 공격적인 경영전략에 상당히 주목하고 있다.

그는 “그동안 수능강의를 비롯한 학교교육 부문이 다소 위축돼 있었다”며, 취임 후 조직 재정비를 통해 학교교육 부분을 강화하고 있다. ‘방송중심’이던 조직을 ‘교육중심’으로, ‘공급자 중심’에서 ‘수요자 중심’으로, ‘아날로그 기반’을 ‘디지털 기반’으로 개편하고 있다. 학교교육본부를 설치하고, 산하에 ‘학교교육기획부’를 만들어 기획 기능을 강화하고 있다.

또 교육방송연구소를 신설해 고품질 교육서비스를 위한 연구개발기능도 확충하고 있다. 올 1월에는 ‘스타 강사’를 대거 영입하고, 최상위권 강좌 등을 다양화하고, 한층 업그레이드된 수능강좌 서비스를 시작하기도 했다. 수능강의 영상도 HD급 고화질로 개선했고, 수능전문사이트 EBSi(www.ebsi.co.kr)도 개편했다.

1980년도 이후 지금까지 EBS 프로그램을 학교교육과정에 접목해오려던 나로서는 얼마나 감사하고 다행스러운지 모른다. 아시다시피 EBS는 교육이라는 알맹이를 방송이라는 매체에 실어 방영하는 원격교육기관으로서 그동안 구체적 존립 양태에 따라 학교교육의 보조체계와 사회교육체계로서의 양면성을 동시에 추구해 왔기 때문이다. 80년대가 전자의 강조기였다면 90년대 중반이후 작년까지는 아마 후자의 강조기였다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늦게나마 일선학교 교육자로서 EBS가 설립 취지의 본질을 제대로 살려간다는 추진방향에 전적으로 공감한다. 더불어 학교 속의 EBS방송을 기대하며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먼저 소프트웨어나 휴먼웨어의 네트워킹 측면에서 교육방송과 학교교육과정의 연계 부담을 줄여 줬으면 좋겠다. 보도에 의하면 수능강의 강좌 및 서비스 개선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온 결과, 수능강의 히트수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배 이상 증가했다고 한다. 하지만 초·중학교를 비롯해 일선교육현장에서 느끼기는 여전히 방송프로그램 활용률이 미미한 수준이다.

따라서 그에 대한 대안으로 우선 EBS 프로그램 내용 및 활용방법에 관한 연수나 안내 설명서, CD 보급이 시급하다고 본다. 학년별로 업데이트 된 콘텐츠 확보를 위해 학부모, 현장 교사들의 의사참여 기회를 확대해야 할 것이다. 구성 역시 생활중심 형태로 보다 재미있고 흥미있게 짜야 할 것이다.

시도교육청별 교수·학습지도 유명교사의 EBS 출연과 파견근무제를 추진하는 것도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교과부와 지역교육청의 행정적 지원 및 협력을 시스템화 하며, 기존의 교육방송 담당 전문직의 업무와 역할을 강화하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프로그램 영역별 활용 컨설팅 팀을 운영하며, 교육수요자가 방송 내용을 사전에 인지하고 지도할 수 있도록 단위 프로그램별 활용안내물을 첨부하는 것도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초등학교 학생들의 학습 집중도가 10분 이내임을 고려해 프로그램별 방송분량을 3~5분정도의 분량으로 줄이며, 기존의 프로그램 분량을 그대로 유지할 경우 주제별로 학습의 전반부, 중반부, 후반부, 분절투입이 가능하도록 편집과정 속에 정리 및 사유공간을 둘 필요가 있다. 한편 학교에서 VOD 시스템을 활용하다보면 하드웨어 부분에서 학교 LAN망의 접속지연과 수업 중 중간 중간 멈추는 현상이 잦아 시청을 포기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교육청은 행․재정적 지원을 늘려 인터넷 증속작업이 조속히 이뤄지도록 할 것이며, iP-TV 활용시 콘텐츠를 부담없이 이용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끝으로 글로벌 경쟁력 측면에서 클립뱅크를 구축하며, 원활한 소통과 홍보 활성화 측면에서 옴부즈만 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하다. 또한 시도교육청 공인등록 연구단체인 ‘전국교육방송연구연합회’를 EBS 일선교육현장 길잡이로 활용하는 것 역시 적극적인 활성화 방안이 될 것이다. 변화의 시기에 EBS방송이 ‘학교가 필요로 하는 방송’, ‘무엇인가 얻을 것이 있는 방송’, ‘미래교육을 주도하는 생활 속의 교단선진화 기수’로 조속히 자리매김 하기를 기원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