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2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

초등교과서 오류 '수두룩'

지구 반대편·꼭지점·등교길 등
"교과서청문회 열자" 이색 주장도

언어사용에 모범을 보여야 할 초등 교과서에 오자와 비표준어, 억지스런 표현이 수두룩한 것으로 드러났다. 최근 새국어생활(국립국어연구원 刊)에서 초등 교과서의 오류를 조목조목 지적한 권오운(시인)씨는 "기본적인 맞춤법 오류는 물론 비표준어와 억지말, 억지표현이 수도 없이 많아 교과서 청문회라도 열어야 할 지경"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따르면 2-(가) 수학 35쪽을 비롯, 3-1 수학, 5-1 수학 익힘책 등에서 `꼭짓점'을 꼭지점으로, 1-1 읽기 36쪽을 비롯, 6-1 사회 91쪽 등에서는 `노랫말'을 노래말로, 5-1 말하기·듣기·쓰기 78쪽에는 `시곗바늘'을 시계바늘로, 5-1 읽기 108쪽에는 `등굣길, 하굣길'을 등교길, 하교길로 하는 등 사이시옷을 멋대로 떼어내 버렸다. 오자와 비표준어도 많이 쓰이고 있다.

깨끗이가 깨끗히로(6학년 체육 14쪽), 밤을 새우다가 밤을 세우다로(5-2 사회 58쪽), 창난젓을 창란젓으로(5-1 사회과 탐구 17쪽) 잘못 쓰는 예가 무수히 많다. 또 5-1 읽기 66쪽에는 `사람의 발자국소리'라는 표현이 있는데, 이것도 발자국이 소리를 낼 수 없기 때문에 있을 수 없는 말로 `발소리'의 잘못으로 지적됐다.

희한하고 억지스런 말로는 6-2 읽기 161쪽에 쓰인 `쇠자막대기'가 꼽혔다. `쇠로 된 긴 막대기에 눈금을 새겨 넣은 자'를 뜻한다면 쇠자막대기가 아니라 `쇠막대기자'가 옳다. 또 5학년 실과 69쪽에는 삶은 달걀을 건지기 위해 `건지기'가 필요하다고 돼 있다. 그러나 건지기라는 말은 존재하지 않으며 `철사로 그물처럼 엮어 바가지같이 생겨 음식물을 건져내는 기구'는 `석자'라 한다.

4학년 실과 113쪽에는 덧소매라는 생소한 단어가 나온다. 물론 사전에 실려있지 않은 말이다. 이 말은 토시의 잘못이다. 불분명하고 부적절한 표현도 수두룩하다. 5-1 읽기 148쪽에는 `지구의 반대편에 있는 나라의 소식도 쉽게 알 수 있습니다'라는 구절이 있다. 여기서 `지구의 반대편'은 그 뜻이 매우 불분명하다. 한국의 반대편, 미국의 반대편이라면 몰라도 `지구의 반대편'은 지구상에도, 우주에도 없기 때문이다.

2-2 생활의 길잡이 49쪽에는 `지하철을 탈 때는 안전선 밖에서 기다립니다'라는 잘못된 표현이 있다. 안전선 `뒤에서' 기다려야지 안전선 밖(안전하지 않은 곳)에서 기다리라는 것은 상식에 어긋난다. 앞뒤가 맞지 않은 표현으로는 4-1 생활의 길잡이 99쪽에 실린 `벽화가 반쯤 완성될 무렵'이라는 구절이 예로 제시됐다. `반쯤'이라는 제한 뒤에 `완성'이라는 표현이 나올 수 없으므로 이 말은 `벽화가 반쯤 그려졌을 무렵'의 잘못으로 지적됐다.

권오운씨는 "가장 많은 지면을 할애해 초등 교과서의 오류를 꼬집고 교과서 청문회라도 열자고 했는데도 교육부는 가타부타 아무런 반응이 없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