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서울시내 초등학교에서 '왕따' 피해로 인한 사건들이 잇따르면서 학교폭력에 대한 경각심이 다시 커지고 있다.
얼마전에는 친구들의 괴롭힘을 참다 못한 한 학생이 가해 학생을 미리 준비한 흉기로 찌르는 끔찍한 사건까지 발생해 우리 사회를 놀라게 하기도 했다.
학교폭력뿐 아니라 인터넷 발달로 10대 네티즌들 사이에 무분별한 사이버 범죄도 빈발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인터넷에서 붙은 시비 끝에 실제 만나 싸우는 '현피' 사건까지 잇따르는 등 청소년 범죄의 종류도 갈수록 다양해지는 실정이다.
◇ 줄 잇는 학교폭력 = 학교폭력의 문제점은 어제 오늘 일이 아니지만 갈수록 그 수법과 종류가 대담ㆍ다양해지고 있다는 점에서 우려를 낳고 있다.
올해 들어서만 학교에서 친구들의 괴롭힘에 시달리던 학생이 자살을 시도하거나 가출, 또는 자신을 괴롭힌 친구를 흉기로 찌르는 사건이 수차례 발생했다.
지난 6월 서울 모 중학교 여중생이 집단 괴롭힘을 견디다 못해 교실 밖으로 투신했으나 나무에 걸려 다행이 목숨을 건졌고 이달 9일에는 서울 모 초등학교 6학년생 김모군이 역시 '같은 학교 애들이 괴롭힌다'는 내용의 메모를 남기고 가출했다.
김군은 나흘 만에 무사히 집으로 돌아왔지만 김군 부모가 가해 학생들을 경찰에 고소해 현재 해당 학교 관계자와 학생들에 대한 조사가 진행되고 있는 상태다.
앞서 이달 초에는 역시 서울의 한 초등학교 6학년생이 평소 자신을 괴롭히던 같은 반 학생을 학교 복도에서 미리 준비한 흉기로 세차례나 찔러 큰 상처를 입히는 충격적인 사건까지 발생했다.
학교폭력뿐 아니라 절도, 날치기, 성폭행 등 '고전적' 범죄와 인터넷 발달로 인한 각종 사이버 신종 범죄도 청소년들 사이에 끊이질 않고 있다.
12일에는 심야시간에 아파트 주차장을 돌며 차량 내비게이션, 현금 등 3천800만원 상당을 턴 10대 5명이 붙잡혔는가 하면 지난달 18일에는 오토바이 날치기로 1천600만원 상당을 훔치거나 무차별적으로 동네 상가 등을 털고 공중화장실에서 20대 여성을 집단 성폭행하려 한 10대 10명이 무더기로 입건됐다.
인터넷에서 서로 시비가 붙은 뒤 실제로 만나 싸움을 벌이는 이른바 '현피' 사건도 최근 청소년들 사이에 유행처럼 번지고 있어 경찰이 대책 마련에 착수하기도 했다.
◇ 학교폭력 예방책은 = 전문가들은 타인을 배려하지 않고 자기만 생각하게 하는 잘못된 가정교육, 폭력을 양산하고 매스컴 등을 통해 이를 미화하기까지 하는 사회 분위기 등이 아이들의 폭력성을 부추긴다고 지적한다.
연세대 소아정신과 신의진 교수는 "요즘 아이들은 대부분 형제 없이 커 이기적인데다 부모들도 '쟤랑 놀지말라'는 말을 자녀들에게 별 생각없이 하면서 아이들의 배타성을 키우는 잘못된 교육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참교육을 위한 전국학부모회 김현옥 회장은 "인터넷, TV, 영화 등이 아무렇지도 않게 폭력을 노출하는 등 사회 전체가 폭력 문화를 양산하고 있다"라며 "학교에서도 입시에 밀려 제대로 된 인성교육을 실시하지 못하다보니 폭력이 갈수록 아이들에게 내면화되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시민단체와 직접 피해를 겪은 학부모들은 학교폭력을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 가장 근본적이고 중요한 것이 바로 일선학교의 철저한 예방교육이라고 강조한다. 학교폭력이 근절되지 않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도 바로 예방교육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
학교폭력예방센터 김건찬 사무총장은 "스웨덴, 노르웨이 등 북유럽 국가들의 경우 학교폭력 예방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해 학교 폭력을 50% 줄였다는 보고가 있다"며 예방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우리나라 역시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에 따라 일선 학교들은 의무적으로 1년에 두번씩 학교폭력 예방교육을 실시토록 돼 있지만 형식적인 교육에 그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김 사무총장은 지적했다.
실제 청소년폭력예방재단이 올해 6~8월 전국 15개 시ㆍ도의 초등학생 및 중학생 총 3천91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학교폭력 예방교육'을 받아보지 못했다는 학생이 절반 가까운 43.9%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 사무총장은 "학교 폭력이 발생하더라도 해당 학교들은 사건을 은폐ㆍ축소하기에 급급한 실정"이라며 "학교폭력 발생시 일선 학교가 설치하는 학교폭력 자치위원회의 활동에 강제성을 부여하는 쪽으로 관련법도 개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학교폭력피해자가족협의회 봉혜경 사무국장도 "학교들이 그저 가정통신문 몇번 보내고 학교에 현수막 하나 내거는 것으로 예방교육을 실시했다고 하는데 이는 학교폭력의 심각성을 전혀 깨닫지 못하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가해학생을 단순히 처벌하기에 앞서 자신의 행동이 타인에게 얼마나 큰 고통을 줄 수 있는지 진심으로 깨달을 수 있는 기회를 줘야하며 예방교육도 바로 이런 점에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는 의견도 내놨다.
봉 사무국장은 "피해자 가족들이 직접 나서 학생들에게 학교폭력의 심각성을 알릴 수 있는 기회를 달라고 전국 모든 학교에 공문을 보내봤지만 한군데서도 연락을 받지 못했다"며 "학교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 피해 당사자들과 함께 철저한 예방교육을 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