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원은 13일 전국 20여개 대학을 포함해 비리가 의심되는 120여개 사립학교에 대한 본감사에 착수한다.
감사원은 이날부터 4월말까지 130여명의 감사요원을 투입해 교육인적자원부, 전국 16개 시.도 교육청, 120여개 중.고교 및 대학 등을 대상으로 교육재정 운용실태에 관한 본감사를 벌인다고 12일 밝혔다.
감사원은 대상학교에 일부 종교계 학교도 포함돼 있으며 서울과 지방소재 20여개 대학이 들어있다고 설명했다.
감사원은 지난달말까지 교육부와 교육청 등의 각종 자료 분석과 민원.제보 내용을 바탕으로 문제 소지가 있는 학교를 중심으로 150여개를 추린 뒤 최종 감사대상을 120여개로 압축했으며, 필요시 이들 학교에 대한 현장조사도 벌일 계획이다.
감사원은 이번 감사를 각급 학교의 공적 책임과 예산집행의 투명성을 높이는데 초점을 맞춰 ▲보조금 집행 등 교육재정 운용 ▲학교 설립.운영관련 법정의무 이행 상황 ▲교육.수익용 재산 관리 ▲교원채용.편입학 학사운영 등을 중점 점검할 방침이다.
감사원 관계자는 "이번 감사가 사학 지원.감독시스템의 개선을 주요 목표로 삼고 있는 만큼 경우에 따라서는 비리나 문제 소지가 있는 학교뿐만아니라 평균적인 학교나 우수학교도 조사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감사원은 아울러 교육부와 교육청의 사학법인 등에 대한 지원.감독 시스템도 심층 분석해 문제점이 발견될 경우 상응한 조치를 할 계획이다.
한편 감사원은 사학비리와 관련해 감사원, 교육부, 국회 등에 지난 7일 현재까지 170개 학교와 관련된 정부 지원금의 목적외 사용이나 횡령, 교비 회계자금의 사적인 사용, 이사장의 친인척 등과 수의계약후 리베이트 수수 등 총 266건의 민원. 제보가 접수돼 이번 감사대상 선정에 활용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