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은 23일 감사원이 전국의 모든 사립학교를 대상으로 특별감사에 들어간데 대해 '관치교육', '교육망국', '청부감사', '폭거' 등의 격한 표현을 써가며 성토했다.
한나라당은 이번 감사를 사학법 국면전환용으로 규정하면서 '윤상림 게이트' 등 현 정부의 의혹부터 풀라며 총공세를 퍼부었다.
이재오(李在五) 원내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현 정부는 사학을 권력의 입맛에 맞춰 관치교육을 하고, 이에 순응하지 않으면 대대적 감사를 하겠다는 것"이라며 "사학 전면 감사 방침은 권력을 이용, 관치교육을 실시하겠다는 노무현(盧武鉉) 정권의 교육에 대한 인식을 단적으로 드러냈다"며 맹비난했다.
이 원내대표는 "권력이 사학을 수중에 넣어 입맛대로 한다면 그 피해는 학생들이 보게 되고, 결국 나라가 망하게 된다"면서 "현 정권의 관치교육으로 '교육망국'의 길로 접어들고 있다는 게 우리의 판단"이라며 공격의 수위를 높였다.
이 원내대표는 "사학법 개정은 양보할 수 없는 마지막 요구"라며 "관치교육을 자율교육으로 전환하고 교육망국으로부터 학생을 보호하기 위해 국민대토론회를 열고, 열린우리당 원내대표단이 구성되는대로 재개정 논의에 들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계진(李季振) 대변인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특감 실시는 벌을 내리기 위한 수순을 밟는다는 뜻으로, 모든 사학을 범죄집단시하는 처사"라며 "많은 저항이 뒤따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방호(李方鎬) 정책위의장은 "국가의 공권력 행사는 정당성을 가질 때 국민적 동의를 받을 수 있는데, 사학을 비리 집단으로 몰고가는 이번 특감은 사학을 길들이고 사학법 국면을 전환하기 위한 과잉.보복감사"라면서 즉각 철회를 요구했다.
전여옥(田麗玉) 의원은 "이번 특감은 현 정권이 법 개정 없이도 사학에 대해 모든 수단을 동원할 수 있다는 반증이자 우리 사회 기득권 계층에 대한 폭거다. 조폭수사도 이처럼 전국적으로 훑지는 않을 것"이라며 "비리 사학 특감에 앞서 윤상림 게이트부터 제대로 조사해야 이치에 맞는 것 아니냐"며 비난했다.
김재원(金在原) 기획위원장도 "한나라당 인사에 대한 오포 지구 청부 수사 논란이 일더니, 이번에는 독립기관인 감사원이 정권의 청부감사에 나섰다는 생각이 든다"며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