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은 8일 일부 사립학교의 신입생 배정거부 움직임에 대해 청와대가 사학비리 전면조사를 실시키로 한 것과 관련, "'감사'와 '수사'를 무기로 사학을 협박하고 있다"고 강도높게 비난했다.
한나라당은 특히 청와대를 '비리 1번지'로 규정하는 등 현 정부의 도덕적 자질론까지 제기하며 대정부 공세에 나선 동시에 사학법 재개정이 이번 사태를 풀 수 있는 유일한 해결책이라며 정부.여당의 책임있는 자세를 촉구했다.
이계진(李季振) 대변인은 염창동 당사에서 브리핑을 갖고 "전면적인 수사엄포는 국민이 준 공권력을 오히려 국민에게 휘두르는 협박이자 표적수사"라면서 "정부가 말로는 검찰의 독립을 보장한다고 하면서 실제로는 더 세련된 방법으로 검찰을 권력의 시녀처럼 부리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청와대는 역대 대통령 본인과 아들 등 친인척은 물론 비서실장과 환경미화원까지 비리를 저지른 비리 1번지로, 과연 사학비리를 수사할 도적적 자격이 있는가"라고 반문한 뒤 "청와대부터 자체 비리수사를 명쾌하게 해 도덕성을 갖춰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제주 5개 사립학교가 신입생 배정거부 방침을 철회한 것과 관련, "정부.여당이 권력을 총동원해 사학을 협박하고 윽박 질러서 급한 불을 껐지만 잔불은 여전하다"면서 "근본적이고 가장 간단한 진화방법은 사학법 재개정 선언뿐"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이정현(李貞鉉) 부대변인은 "사학비리 조사는 청와대 특명에 의한 전형적인 독재정권형 기획수사이자 정치보복 대상자를 표적삼은 현미경 수사"라면서 "이 정권이 마침내 21세기형 전제군주 정권의 반열에 올라섰다"고 꼬집었다.
국회 교육위 소속으로 원내수석부대표를 지낸 임태희(任太熙) 의원도 "과거 권위주의 정부 시절 말 안듣는 기업을 세무조사로 협박해 돈을 뜯어내는 것과 뭐가 다르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주호(李周浩) 제5정조위원장은 "상시적인 시스템을 통해 사학비리를 감시해야지 정부 정책에 순응하지 않는다고 기획감사를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면서 "정치적 의도가 있으며 예정된 수순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이런 강경비판론 속에서도 한나라당이 이제 학생을 볼모로 하는 장외투쟁을 접고 등원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여전했다.
당내 차기 대권주자중 한명인 손학규(孫鶴圭) 경기지사는 개인 홈페이지에 올린 글에서 "제주 사립학교들이 신입생 배정거부 방침을 철회한 것은 다행이며 어떠한 상황에서도 학습권은 보호돼야 한다"면서 "학생을 볼모로 하는 투쟁은 결코 정당화될 수 없다"고 역설했다.
그는 "수십만명의 학생들이 고등학교에 진학하느냐 못하느냐는 엄청난 사태가 벌어진 마당에 언제까지 기싸움만 하고 있을 것이냐"며 여야를 싸잡아 비판한 뒤 "이제 협상에 나서야 할때로 정부.여당은 날치기 처리를 사과하고 개정 사학법을 철회해야 하며 야당은 국회로 들어가 머리를 맞대고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