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역 5개 사립고교 교장단이 7일 오전 제주시 연동 남녕고등학교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신입생 배정을 수용키로 했다고 전격 발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물론 교육인적자원부와 교육청의 최후통첩에 이은 예비소집일 연기 요청 불가, 검.경의 수사 가능성 등 법적인 모든 수단을 동원하겠다는 정부 차원의 초강수가 가장 큰 이유로 꼽히고 있다.
실제로 신입생 배정을 거부할 경우 불이익만 돌아올 뿐 실익이 없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더 이상 학생들을 볼모로 하는 비교육적인 방법을 동원해서는 안된다는 교육자적 양심이 이런 결정을 내리게된 직접적 원인이라는 분석이다.
남녕고 윤두호 교장은 "학생들의 학습권은 절대 침해되서는 안되고 더 이상 학부모와 도민들에게 걱정을 끼쳐서는 안된다는 생각으로 심사숙고해 결정했다"고 말해 학습권 침해에 따른 여론의 비난이 큰 부담으로 작용했음을 인정했다.
그는 또 "한국사학법인연합회와 대한사립중고등학교장회 등 중앙에 더 이상 거부할 명분이 없다는 입장을 전하자 '조금만 더 기다려달라'고 했으나 제주 교장단은더 이상의 비교육적인 방법을 선택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이날 발표문을 낭독한 제주도사립중고등학교장회 고권일(삼성여고 교장) 회장은 "재단과 구체적인 협의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결정했기 때문에 재단이나 법인협의회, 다른 지역 사학들과의 마찰에 부담이 가지만 이해해 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해 교장단이 고뇌에 찬 결정을 했음을 내비쳤다.
교장단의 이 같은 결정에는 또 지역사회의 여론도 상당한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제주 사학이 신입생 배정을 거부키로 했다는 보도가 나가자 다음날 곧바로 참교육을 위한 전국학부모회 제주지부와 전교조 제주지부 등 교육단체는 물론 민노총 제주지역본부, 제주참여환경연대, 제주환경운동연합, 열린우리당 제주도당, 민주노동당 제주도당 등 각계에서 기자회견과 성명 발표 등의 방법으로 비난의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각 학교 총동창회가 신입생 배정 거부를 비난하면서 공동보조를 취하기로하면서 평소 총동창회와 많은 교감을 가져온 사립학교장들이 커다란 심적 부담을 느낄 수 밖에 없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또 제주지역 사학은 개정 사학법을 반대하지만 처음부터 능동적으로 움직였다기 보다는 한국사학법인연합회와 대한사립중고등학교법인협의회 등의 결정에 마지못해 따라갈 수 밖에 없었다는 분석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