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교육청은 교육인적자원부의 방침에 따라 6일 오후 6시까지 제주시내 5개 사립고교들이 2006학년도 신입생 예비소집 계획에 따른 추진 일정 및 내용을 보고하도록 최후 통첩을 보냈다.
교육청은 공문에 명시된 시한을 넘길 경우 신입생 배정 거부 행위로 간주해 관계 법령에 따라 강력한 행.재정적 조치를 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교육청 국장단은 이날 오전 10시부터 제주시내 하니관광호텔에서 오현고, 대기고, 남녕고, 제주여고, 신성여고 등 도내 5개 사립학교 교장들을 만나 4시간에 걸친 마라톤 면담을 가졌으나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교육청은 교장단이 이사장 및 이사진과 협의해 의견을 모을 경우 오후 5∼6시께 다시 면담을 가질 계획이었으나 교육부의 강력대응 방침이 발표되자 즉각 각 사립고에 이 같은 공문을 보냈다.
교육부와 교육청은 강력한 압박을 가하고 있지만 오후 6시까지는 시간적이 여유가 없어 해당 사립고들이 신입생 예비소집 계획을 제출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특히 이들 사립고의 법인 이사장이나 학교장들은 언론과의 접촉을 회피하고 있어 현재로선 어떤 반응을 보일지 아무도 짐작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대해 사립고에 배정받은 자녀를 둔 홍현순씨는 "학생을 볼모로 이 같은 행동을 하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며 "입학거부라는 사태까지 벌어지지는 않을 것 같지만 이런 사태가 빨리 시정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대기고에 배정 받은 강모(제일중 3년)군은 "교육은 학생들이 받아야 하는 기본적인 권리인데 학교 마음대로 학생 배정을 받지 않겠다고 해서 피해를 보지 않을까 걱정된다"고 말했다.
이번 사태와 관련해서는 교육계 뿐만 아니라 관련 학교의 동창회와 시민.사회단체 등이 기자회견이나 성명 발표가 잇따랐다.
참교육을 위한 전국학부모회 제주지부와 민노총 제주지역본부, 전교조 제주지부, 제주참여환경연대, 제주환경운동연합, 열린우리당 제주도당, 민주노동당 제주도당 등이 기자회견을 갖거나 성명을 통해 사립고의 학생 배정 거부를 비난했다.
또 이번 사태의 한 복판에 서 있는 오현고등학교총동창회와 대기고등학교총문회도 "개정 사학법의 찬.반을 떠나 어떠한 경우에도 학생의 학습권이 침해되어서는 안된다"며 학생 배정 수용을 촉구했다.
학교를 사랑하는 학부모 모임의 고진광 상임대표는 이날 교육감을 면담하고 "학습권을 빼앗는 학생 배정 거부도 있을 수 없지만 일방적으로 사학을 몰아부치면 관선이사 파견시 출근저지 투쟁을 전개하겠다"며 교육부와 교육청의 강경대응 방침을 철회할 것을 요구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