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대입 수능시험에 이어 이번엔 특수목적고 명문인 대원외국어고 특별전형 구술ㆍ면접시험에서 휴대전화 문자메시지(SMS)를 통한 부정사건이 발생해 충격을 던져주고 있다.
이런 부정사건이 발생한 것은 무엇보다도 외국어고교의 독특한 시험방식 때문.
이번에 문제가 된 대원외고 특별전형 구술시험의 경우에는 응시생을 3개조로 나눠 먼저 1조가 40분 동안 문제를 푼 뒤 면접시험장으로 이동, 면접관 앞에서 10분 동안 정답을 설명하고 고사장을 퇴실하게 된다.
이후 5분 뒤에 2조와 3조가 차례대로 1조와 똑같은 시험 문제지를 받아 문제를 풀고 면접관에게 정답을 말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따라서 이번에 시험부정을 저지른 학생 3명은 외고 구술ㆍ면접시험문제가 똑같은 데다 수험생의 시험시간이 서로 다른 점을 이용,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를 통해 정답을 서로 가르쳐주고 모두 합격까지 하게 된 것이다.
이와 함께 학교측이 시험을 실시하기 전 각 수험생에게 시험실시 시간도 사전에 통보를 해주면서 수험생들로 하여금 사전모의를 가능하게 하는 바람에 입시부정을 야기시켰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특히 구술ㆍ면접시험에서 수학 등 교과형 문제가 출제되고 합격하려면 정답을 산출해야 되기 때문에 이 같은 부정행위가 이뤄진 것이다.
잠원종로엠학원 정주창 원장은 "구술ㆍ면접시험을 볼 때 물론 면접관앞에서 문제풀이과정을 설명해야 하지만 합격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답이 맞아야 하기 때문에 일부 학생들이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를 통한 부정행위를 저지른 것 같다"고 말했다.
2005학년도 대입 수능 휴대전화 부정 파동 이후 올해 수능부터는 고사실에 휴대전화 반입을 엄격히 차단했지만 대원외고 입시에서는 응시생이 고사장에서 휴대전화를 소지한 것으로 밝혀져 시험관리도 허술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 함께 이동통신사에서 SMS 내용을 저장하지 않기 때문에 전송된 휴대전화 문자메시지 내용을 확인할 수 없는 등 사후통제가 불가능한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구술ㆍ면접 시험방식이 한영외고와 명덕외고, 대일외고, 서울외고, 이화외고 등 다른 외국어고교도 이번에 문제가 된 대원외고와 비슷하기 때문에 다른 외국어고교에서도 부정행위가 있었을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이에 따라 서울시 교육청은 대원외고 외에 명덕외고와 대일외고, 한영외고, 서울외고, 이화여자외고 등 다른 외국어고교에 대해서도 특별감사를 실시키로 했으며 연말까지 특목고 입시관리 강화 대책을 수립, 부정행위를 근절키로 했다.
서울시 교육청 관계자는 "특목고의 시험방식을 바꾸는 방법 등 을 통해 부정행위 개입요건을 사전에 차단하고 휴대전화 반입도 엄격히 통제하도록 할 방침"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