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내 어린이보호구역(스쿨존)의 설치구간이 지역별로 편차가 심한 데다 경찰과 일선 학교의 관심부족으로 등.하교 어린이들의 교통사고 사각지대에 놓여있다는 지적이다.
1일 강원도 교육청에 따르면 도내 367개 초등학교 가운데 59.4%인 218개 학교만이 스쿨존이 설치돼 있고 149개 학교는 없는 상태이다.
춘천의 경우 41개교에 모두 설치돼 있지만 평창은 21개교 중 6개교, 영월 17개교 중 15개교, 고성 15개교 중 1개교만 설치돼 있는 등 지역별 편차가 심하다.
또 스쿨존 내에서는 어린이 등.하교시 차량 속도를 시속 30㎞ 이하로 줄여야 하고 주.정차도 금지돼 있으나 안전규칙을 무시한 채 속도를 내는 운전자들과 불법 주.정차로 어린이들의 안전이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실정이다.
올들어 8월까지 어린이 교통사고는 총 449건으로 이 가운데 스쿨존 내에서 22건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2학년 자녀를 둔 한 학부모는 "녹색어머니회 등이 등.하교 시간 교통안전에 대한 캠페인 등을 벌이고 있지만 한계가 있다"며 "운전자들의 안전의식과 관계당국의 관심이 절실한 실정"이라고 말했다.
교통안전공단 강원지부 관계자는 "스쿨존에 대한 지역별 편차가 심한 것은 지자체별로 예산부족 등으로 설치가 미뤄지고 있다"며 "2002년부터 어린이 보호구역 개선사업을 시행하고 있지만 강원도의 경우 미설치 구간이 많아 취약한 실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스쿨존 신청은 해당 교육청이 학교장의 건의를 받아 경찰과 함께 보호구역으로 지정하는 것"이라며 "무엇보다 해당 교육청의 관심과 지도가 가장 중요한 점"이라고 지적했다.
스쿨존 제도는 도로교통법에 따라 어린이 교통사고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마련한 것으로 유치원 및 초교 주변도로 중 일정구간을 지정하여 차의 통행을 제한하거나 금지하는 제도이다.